2022년도 사업목표
□ 포스트 코로나·디지털 전환기 노동·가족 정책의 재구조화
□ 미래사회 성평등 확산 및 젠더 폭력 대응 정책영역 확대
□ 실효적 성주류화를 위한 종합 연구 강화
연구사업 운영방향
사업목표 | 세부내용 |
---|---|
포스트 코로나·디지털 전환기 노동·가족 정책의 재구조화 | ㅇ 코로나 이후 여성노동정책 전환 선도 |
ㅇ 산업 및 노동시장 구조 변화에 따른 노동시장 성차별 해소방안 마련 | |
ㅇ 사회적 돌봄의 질 개선 및 젠더 공공성 확립을 위한 전략 발굴 및 논의 확산 | |
ㅇ 다양한 가족·삶의 형태를 고려한 성평등정책 이슈 및 정책 방안 마련 | |
미래사회 성평등 확산 및 젠더 폭력 대응 정책영역 확대 | ㅇ 성평등 관점에서의 지속 가능한 미래사회 전망 연구 |
ㅇ 미래세대 성평등정책 확산을 위한 전략 분야 발굴 | |
ㅇ 성평등 문화 확산과 여성 인권 증진 | |
ㅇ 젠더 폭력 변화 양상 분석 및 대응방안 마련 | |
ㅇ 여성건강권 및 성·재생산권에 대한 미래지향적 연구 추진 | |
ㅇ 시의성 있는 정책의제 발굴·진단을 통한 성평등정책 실행력 강화 | |
실효적 성주류화를 위한 종합 연구 강화 | ㅇ 성인지적 관점의 정책분석·평가의 확산과 내실화 |
ㅇ 예·결산 과정의 성주류화를 위한 심화 연구 | |
ㅇ 성주류화 추진 거버넌스의 강화와 효율화 지원 | |
ㅇ 성주류화 및 성평등정책 추진을 위한 맞춤형 통계 생산 및 데이터 기반 확립 | |
ㅇ 글로벌 성평등 의제의 국내외 이행 및 협력 강화 |
중점연구사업
□ 인신매매피해자 보호 및 지원체계 구축방안 연구
□ ESG 경영을 통한 기업 내 성평등 제고 방안 연구
□ 국가 성평등교육의 체계 및 운영 방안 개선 연구
□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한민국의 성평등 ODA 전략 연구
□ 성주류화 제도의 통합적 운영모형 연구
□ 미래사회 성평등 정책의 도전과제
□ 젠더 관점의 사회적 돌봄 재편방안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