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정부기구를 통한 여성의 교류.협력 증진방안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김재인 연구기간 2000-03-01 ~ 2000-11-01

        가.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지금까지 남북한 여성교류의 특성을 살펴보면 첫째, 남북한 여성들이 공통으로 가
        지고 있는 종군위안부 문제를 비롯하여 제 3국가와 함께  하는 세미나 등에의 참석
        을 요청할 때에는 제의를 받아들인 것으로 나타나 직접적인 교류의 미약함을 들 수
        있다. 둘째,  남북한 여성교류는 남한은 재야 민간 여성운동가, 북한은 정부측 여성
        들인 소수의 여성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는 점이다. 즉 교류에 주도적으로 참
        여한 북한의 여성들이 주로 40대 후반의  중견엘리트들로 사회주의체제에서 태어나
        교육받은 여성들인 반면 남한여성은 대체로 사회변화에  적극적이고 동적으로 적응
        하고 있다는 점에서 남북한이 동질적인 부분(언어, 생활방식, 예술 등)을 가지고 있
        다고 하더라도 양 사회생활에서의 이질화 문제가 제기된다. 또한 교류가 제 삼국인
        일본의 참여를 통한 국제행사  형태로 운영되기 때문에 남북관계가  첨예화할 경우
        상호 자제 및 논쟁의 가능성을 잠재하고 있다는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
        에서 볼 때 북한의 폐쇄성은 북한 여성대표의 남한방문 한계점을 낳으며 또한 남한
        에서의 북한 연구 역시 정보와 현실상황에 대한 이해 미흡으로 인한 어려움을 드러
        내고 있어 이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남북한 여성간의 직접적인 교류협
        력 활성화를 위한 방안이 마련될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지금은 통일과 북한문제에 대한 여성들의 관심이 어느 때보다도 높다.  그러나 여
        성비정부기구를 통해 실제로 여성들이 통일운동에 참여하는  경우는 적으며 여성활
        동가들이 일반여성들보다 더 적극적인 자세로 통일에 참여하고 있어도 아직 미흡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러므로 우리 나라 여성들과  여성비정부기
        구들이 남북한 교류협력을 활성화하고  통일을 앞당기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는 남북한간 여성교류·협력의 배경과 여성비정부기구의 남북한 교류·협력 실
        태, 그리고 여성비정부기구를 통한 남북한 교류·협력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함으로
        써 정부의 성인지적 남북한 교류·협력 정책수립, 정부와 비정부기구간의 협력방안
        마련, 여성비정부기구의 남북한  교류·협력운동에 박차를 가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을 둔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남북한 여성교류 협력의 배경 파악
            (나) 여성비정부기구의 남북한 교류 협력 실태 파악
            (다) 독일의 여성비정부기구를 통한 여성교류 협력 사례 제시
            (라) 여성비정부기구를 통한 남북한 교류 협력의 활성화 방안 모색
          (2) 연구방법
            (가) 국내·외 관련자료 분석
            (나) 전문가 의견조사 (통일관련  학자, 여성단체의 통일관련  담당자, 정책결정
              자)
            (다) 귀순여성 면담 및 심층면접조사
            (라) 사례수집 및 분석
            (마) 전문가 좌담회 및  협의회(정부 및 여성비정부기구  국내 전문가, 북한  및
              중국학자 등)
            (바) 자문회의
          
        다. 기대효과
          (1) 통일과정에서의 여성들의 이념혼란, 사회부적응 현상 예방책 마련
          (2) 통일여성정책에서의 여성부문의 역할과 기능정립
          (3) 부문별 여성교류 확대를 위한 정책과제 제시
          (4) 사회발전 흐름에 여성들의 통합 및 주류화 도모로 여성사회활동 활성화에  기
            여
          (5) 통일여성전문가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