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여성통계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문유경 연구기간 2000-04-01 ~ 2000-11-01

        가. 연구목적
          성별 분리통계의 작성은 성 인지적 통계의  구축에 가장 기초적인 단계로 여성의
        불평등한 상태를 보다 명확하게 보여줌으로써, 평등한 상태로 이행하게 해 주는 길
        잡이 역할을 한다. 1995년에 제4차 세계여성회의 행동강령에서는 '성별 분리 자료와
        정보의 생성과 배포'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과 방법을 명시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역
        시 1995년에 제정된 여성발전 기본법 제13조에서 '성별통계작성'의 의무를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정부의 통계생산과 분석시 성별 분리 통계의 생산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1995년 지방자치 단체장 선거가 실시된 이래 지방자치 행정이 명실상부하게
        자리잡고 있다. 지역사회에  대한 여성의 참여가  높아지면서 지방자치  단체에서으
        모든 정책결정에서 여성의  입장이 고려되고 여성정책의  중요성이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여성정책의 기초자료가 되는 대부분의 통계지료가  지방단위로 발표되지 않
        아 여성관련 정책 결정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한국여성개발원에서는 지역여성의 지위향상과 능력개발을  위하여 지역특성에 맞
        는 여성통계의 필요성을 실감하여 지역여성통계를 구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
        에서는 해당 지방자치단체의 의뢰로 1998년「제주여성통계연보」를 비롯하여 대전,
        대구, 광주지역의 여성통계과제를 수행하였다.
          이에 본원에서는 이와 같이 축적된 경험을  바탕으로 통계를 통한 경기지역 여성
        의 현황과 지위파악을 가능하게 함은 물론 경기여성의 정책수립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 동시에 경기여성의 지위향상에 이바지하려는 목적 하에 「경기여성통계」과제
        를 수행하고자 한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경기여성통계의 체계 구성
            (나) 경기여성관련 통계현황 파악
            (다) 경기여성통계 부문별 작성 :  ① 인구, ② 가족,  ③ 교육, ④ 경제활동, ⑤
              보건, ⑥ 복지, ⑦ 정치 및 사회참여, ⑧ 문화 및 정보, ⑨ 안전, ⑩ 시도별 비
              교, ⑪ 국제비교
            (라) 통계로 보는 경기여성의 지위
          (2) 연구방법
            (가)문헌연구
            (나)기존 통계수집과 분석
            (다)1차 통계(raw data)의 재처리와 분석
         
        다. 기대효과
          (1) 지역여성의 현황과 지위 파악
          (2) 지역여성정책 수립과 지역여성의 연구에 기초자료로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