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 경영을 통한 기업 내 성평등 제고 방안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이승현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연구 목적

        국내 기업들이 세계적 흐름에 동참하여 ESG 경영을 도입하는 상황이지만 ESG 경영이 이론적·법적으로 정립된 개념은 아님. 이에 본 연구는 현 상황에서 ESG 경영의 발전과정과 이론적 논의들에 대해 검토하고, 조직 내 젠더 이슈의 해결과 관련하여 ESG 경영이념의 실행 현황 및 방법 등에 대해 파악하고자 함.

        국내외에서 진행되고 있는 ESG 경영에 대한 이론적 논의와 법적·정책적 개념 수립 상황을 면밀히 검토하며, ESG 경영 개념과 관련된 젠더 이슈들에 대해 명확히 밝히고자 함.

        ESG 경영을 통한 기업 내 성차별 철폐와 성평등 제고가 기업의 경영 성과를 높이고 조직 구성원들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다양한 실증 연구들이 발표되고 있는 바 ESG 경영 실행과 조직 내 성평등 제고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함.

         

        이미 미국이나 유럽 등의 국가들은 ESG 경영에 대해 정보 공시 의무 제도 등 제도 수립이 완료된 상황임. 그러나 우리 정부와 국내 기업들은 이제 시작하는 단계라 할 수 있음. 따라서 ESG 경영을 실행하고 있는 대표적인 국외 기업의 사례와 국내 기업의 사례들을 함께 검토하는 사례분석을 통해 롤모델 발굴 및 국내외 경향 분석 등을 수행하고자 함.

        국내 기업의 경우 ESG 경영을 도입했음에도 S(사회)G(지배구조) 부분에 대해 소극적인 경향이 나타난다는 평가에 대해 실제 사례분석을 통해 밝히고자 하며, 이러한 현상에 대한 원인, 문제점 및 이에 따른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함.

        또한 국내 기업사례 중 ESG 수행 현황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우수사례들에 대해서도 검토하여 긍정적인 평가를 받게 된 원인, 추진동력 및 이에 따른 영향에 대해 파악하고자 함.

         

        이미 정부가‘2112, K-ESG 가이드라인을 발표하여 국내 ESG 경영에 대한 표준을 마련하였고, 이에 대한 평가 지표를 수립하였으며, 관련 정책 사업들도 편성하여 '22년 수행을 시작한 상황임.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기업들 역시 ESG 정보 공시 의무 제도를 도입해야만 하는 상황임을 제시하고, K-ESG 가이드라인을 검토 및 분석하여 향후 본 가이드라인의 보완에 필요한 젠더 이슈들을 제안하며, ESG 경영 관련 정책 사업들에 대한 검토를 진행하여 K-ESG를 통해 기업 내 성평등을 제고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다양한 정책 방안을 제안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젠더 이슈 해결을 위한 ESG 경영 논의 및 고찰

        ESG 경영의 이론적·개념적 정의

        ESG 경영과 관련된 젠더 이슈 파악

        국내 ESG 경영에서 특히 취약한 S, G 부문 고찰

         

        젠더 이슈를 중심으로 한 ESG 경영 사례분석

        국외 기업의 사례분석

        - 전반적인 국외 기업사례 경향성 검토, 유럽·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의 대표적인 기업사례 검토 : 젠더 이슈에 대한 대응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의 사례분석

        - 전반적인 국내 기업사례 경향성 검토, 긍정적인 평가를 받는 기업사례·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기업사례 검토 : 젠더 이슈에 대한 문제의식과 대응 현황 분석을 중심으로

        국내 기업의 ESG 경영 도입이 조직 내 성평등에 미친 영향 분석

        - ESG 경영을 도입한 국내 기업의 해당 부서 담당자를 통해 본 경영이념의 추진 상황 및 영향 등 중간 점검 결과 검토 : 기업 내 성평등 제고 측면을 중심으로

         

        K-ESG 가이드라인 및 관련 정책 사업 분석에 따른 정책 제안

        K-ESG 가이드라인과 각각의 세부 지표 분석

        K-ESG 관련 정책 사업에 대한 수행 현황 분석

        K-ESG 가이드라인 개선을 위한 제안 도출

        K-ESG 관련 정책 사업에 대한 제안 도출

         

        연구추진방법

        문헌연구 및 선행연구 검토

        ESG 경영과 관련한 국제 문헌 및 연구자료를 검토하여 이론적, 개념적 정의를 파악하고 본 개념의 근본적인 한 축을 담당하는 젠더 이슈에 대해 정리

        (유엔·SSE·GSIA·세계은행·PMNCH 등 국제기관 및 블룸버그·MSCI·IBD 등 투자기관의 문헌과 학술 연구자료를 포함)

        K-ESG 가이드라인 수립과 관련한 국내외 문헌 및 자료를 검토하여 K-ESG 가이드라인의 주요 내용 및 젠더 이슈에 대해 정리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생산성본부 등 K-ESG 가이드라인 수립과 관련된 기관의 활용 문헌과 연구자료 포함)

         

        사례분석(비교분석 및 계량자료 분석)

        국외 기업의 사례분석

        - 대표적인 글로벌 기업들의 ESG 경영의 수행 경향성 분석

        - 유럽·미국·일본 등 주요 국가의 대표적인 ESG 경영 기업 사례분석(5)

        - 국외 기업 사례들에서 젠더 이슈에 대한 대응 현황 분석

        국내 기업의 사례분석

        - 전반적인 국내 기업들의 ESG 경영의 수행 경향성 분석

        - 국내 ESG 경영 관련 실태조사 데이터 분석(전국경제인연합회에서 수행하는매출액 500대 기업 대상 ESG 준비실태 및 인식조사)

        - ESG 경영 수행에 대해긍정적 평가를 받는 기업 사례(3)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기업 사례(3)를 분석하여 차이점을 낳게 된 원인과 결과 분석

        - 국내 기업 사례들에서 젠더 이슈에 대한 문제의식과 대응 현황 분석

         

        심층 면접 및 FGI, 자문회의 수행

        심층 면접

        - 대상: 기업 내 ESG 경영 담당 부서 실무자(기업당 1~2, 10)

        - 목적: ESG 경영 추진 목적 및 상황, ESG 경영 도입으로 인한 영향 등에 대해 파악하며 ESG 경영과 관련하여 해당 기업에서 고려하고 있는 젠더 이슈를 파악

        FGI

        - 대상: 국내 기업의 ESG 경영을 평가하는 평가기관의 실무자(4, 1)

        - 목적: 국내 ESG 경영의 현황, 국내 ESG 경영의 특성, 국내 ESG 경영 평가 지표에 대한 평가 및 보완·개선할 점(젠더 이슈 중심), 국내 ESG 경영의 발전 가능성 등 파악

        자문회의

        - 대상: K-ESG 가이드라인 수립 참여 기관의 담당자 혹은 실무자(4, 1)

        - 목적: K-ESG 가이드라인 수립의 배경과 수립 시 주요 이슈, K-ESG 가이드라인 수립의 목적 및 향후 개선 방향, K-ESG 가이드라인 활용 계획, K-ESG 관련 정책 사업 수행 현황과 계획 등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