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농업인 실태조사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김영옥 연구기간 2003-04-01 ~ 2003-12-01

        [ 연구목적 및 필요성 ]

        제2차 여성농업인 육성 5개년 계획(2006-2010년)의 수립을 앞두고 그간의 여성농업인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고, 농업·농촌의 환경변화 속에서 여성농업인이 농업구조의 선진화와 농촌경제의 활성화를
        견인하는 역할을 감당하는데 필요한 새로운 요구를 발굴해야 할 시점임. 이에 체계적이며 신뢰할만
        한 방법으로 여성농업인의 현황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함.

        [ 연구내용 및 방법 ]

        가. 연구내용

        1) 농가 여성인구 및 여성농업인의 공급구조
          - 성별 영농인구의 추이
          - 여성 영농인구의 인구학적 특성과 인적자본
          - 가족관계

        2) 여성의 농업 편입 실태
          - 여성의 농업참가 유형
          - 15세 이후의 취업경력
          - 결혼이 취업에 미친 영향
          - 농업취업동기
          - 그동안의 농업변화

        3) 가구의 농업생산$유통 현황
          - 작부체계, 농업경영규모, 노동력구성, 농기계 보유현황, 판매/가공
          - 농업소득, 농업채산성, 생활비, 부채

        4) 여성농업인의 영농참가 실태
          - 인적 자본 수준: 기계조작기술, 새로운 작물킥茱香시설에 대한 관심도, 농업동향과 정책에 대한
                            관심도, 농업기술센터 등의 사업에 대한 관심도
          - 농업 및 농가경영참여 실태: 농업노동에서의 분업실태, 가사와 경영관련 의사결정, 가사노동 실태
          - 정보취득 능력과 각종 정보원, 컴퓨터 활용실태
          - 생산자조직 및 여성단체활동: 생산자조직(작목반, 영농조합, 농협 등) 가입여부, 활동의 적극성,
                                        활동의사, 농촌여성단체가입여부, 단체활동에 대한 평가 및 의견
          - 농업만족도 및 전망: 농업의 장점, 어려운 점, 농촌생활의 상대적 장점과 어려운 점, 농업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전직의사, 새로운 농업에 대한 의향, 자녀의 영농승계에 대한 태도

        5) 여성 농업경영주의 특성
          - 인구학적 특성과 인적 자본
          - 영농 특성 및 의식
          - 향후 영농계획 : 영농지속기간, 희망 영농형태

        6) 여성의 농가소득 기여 정도
          - 농가소득 기여정도 추정: 작목별 노동투입량, 농외취업시간, 가정관리 및 가사 시간
          - 농가소득의 사용 권한
          - 자산소유 실태

        7) 노동복지와 사회복지 현황
          - 출산휴식 기간과 방법, 출산후유증 여부
          - 보건 및 문화서비스
          - 연금과 보험의 가입정도 및 문제
          - 보육서비스 및 자녀교육

        8) 여성농업인의 정책 수혜경험 및 평가
          - 기존 정책에 대한 평가: 교육, 금융지원, 협동조합, 후계자지원제도, 생활개선사업, 보육관련,
                                   보건소, 농가도우미, 여성농업인 발전센터 등
          - 새로운 정책수요의 발굴

        나. 연구방법

        1) 문헌연구
          - 국내외 선행연구의 탐색
          - 농림부, 지방자치단체, 농촌진흥청 등의 사업자료와 농촌개발연구원, 여성농민단체 등이 발간한
            관련문헌의 분석
          - 외국의 정책자료 분석

        2) 통계 원자료 분석
          -「2000년 농업총조사」, 「농가경제조사」등의 원자료 분석

        3) 실태조사
          - 표본설계: 주어진 예산범위 내에서 어떻게 하면 전국의 여성농업인을 대표할 수 있는 표본추출을
                      할 것인가가 관건임. 표본지역, 표본의 규모, 표본추출방식 등을 선정해야 함.
          - 표본추출시 고려해야 할 변수: 
           ·농업지대: 지대별로, 지대 안에서도 지역별로 농업조건이나 생산방식이 상이함. 농업지대는 크게
                       도시근교지대, 평야지대, 중산간지대, 산간지대로 나뉨.
           ·영농형태: 작목에 따라 농업경영방식과 여성의 농업편입 형태가 상이할 뿐 아니라, 농업소득의
                       구체적 추정방식이 달라질 것임. 영농형태는 대략 논벼농가(농업조수입중 미곡수입이
                       최대인 농가), 과수농가(농업조수입중 과수류수입이 최대인 농가), 채소농가(농업조
                       수입중 채소류수입이 최대인 농가), 특작농가(농업조수입중 특용작물수입이 최대인
                       농가), 화훼농가(농업조수입중 화훼수입이 최대인 농가), 전작농가(농업조수입중 맥류,
                       잡곡, 두류, 서류수입의 합이 최대인 농가), 축산농가(농업조수입중 축산수입이 최대인
                       농가), 기타농가(이외 묘, 볏짚 및 농업부산물, 양잠 등 기타농산물수입이 최대인 농가)
                       로 나뉨.
         
          - 계통추출에 의한 무작위 표집표본농가의 선정: 농업소득의 구체적 추정방식은 작목에 따라 달라
            지므로 표본지역내 전체 농가를 대상으로 농업유형별 소득을 분석하고 전망하는 작업은 방대하

            시간이 많이 소요될 것임. 이에 새로운 영농형태의 확산추이에 부응하고 또 여성농업인의 농업
            참여가 활발한 과수·채소·화훼·축산농가 등을 중심으로 표본농가를 추출하여 심층적인 연구
            결과를 도출하고자 함.

        [ 연구결과에 대한 기여도, 기대효과 및 활용방안 ]
         
        가. 기대효과
         ·여성농업인 현황에 대한 객관적이며 신뢰할만한 자료 제공
         ·여성농업인 관련 정책의 현실성 제고
           - [제1차 육성 5개년계획]에 대한 점검
           -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른 여성농업인의 새로운 요구 파악: IT능력의 제고, 농촌여성취업지원
             서비스 개시, 수공업 창업기회의 활성화 등
         ·여성농업인의 역량 강화: 인적자원 개발을 통해 농업의 복합산업화 추세에 부응
         ·여성농업인 삶의 질 제고
         ·궁극적으로 여성농업인이 농업구조의 선진화와 농촌지역경제의 활성화를 견인하는 역할을 담당.

        나. 활용방안
         ·[제1차 육성 5개년 계획] 사업의 보완 및 내실화를 위한 정책자료로 활용
         ·[제2차 육성 5개년 계획]수립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
         ·여성농업인의 농업소득 기여분, 노동가치 등의 추정 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