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전환기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에 관한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이선 연구기간 2023-01-01 ~ 2023-12-31

        ▣ 연구 목적

        □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사회 전반에 걸쳐 광범위한 변화가 예상되는 가운데, 이민, 이민자에 대한 한국사회의 수용성, 이주배경 여부에 따른 집단간 관계에도 상당한 변화가 일고 있음.

        ○ 국내외의 이론적 논의와 최근 조사 결과를 종합해보면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집단간 관계가 급격히 축소되고 다문화수용성이 하락할 가능성은 더욱 커졌으며 낮아진 다문화수용성이 집단간 관계를 더욱 위축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될 우려도 커지고 있음.

         

        □ 다른 각도에서 보면 다문화수용성은 한국사회가 해결해야 할 의제로서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으며 그 만큼 관련 정책도 강화될 필요가 있음.

        ○ 다문화가족 정책의 일환으로 다문화수용성 제고를 위한 몇몇 조치가 취해져 오기는 했으나, 일반적 차원의 의식과 태도에 초점을 두었을 뿐 다문화수용성에 결정적 영향을 미치는 시민들의 실제 관계 경험에 대한 접근은 이루어지지 못했다는 점에서 큰 한계가 있었음.

        ○ 이에 본 연구는 시민들의 구체적인 집단간 관계 경험을 파악하여 다문화수용성 정책 의제를 확대하고 시민들의 실제 경험에 부합하는 정책 수단을 개발함으로써 정책의 실효성 제고를 도모하고자 함.

         

        □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는 성별, 세대 등에 따라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일 수 있는 만큼, 관련 정책에서는 성별, 세대별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의 현황과 추이,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등이 세부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임.

        ○ 본 연구에서는 성별, 연령대별 다문화수용성, 집단간 관계 분석을 통해 정책의제를 구체화하고 정책수단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함.

         

        ▣ 주요 연구내용

        □ 코로나 사태와 집단간 관계의 전개 방향

        ○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 코로나 사태의 영향에 대한 국제적 논의

        ○ 한국사회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의 전개 방향

        ○ 성별, 연령대별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 추이

         

        □ 집단간 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집단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의 관계성, 영향 요인

        * 성별, 연령대를 다문화수용성, 집단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고려

         

        □ 시민들의 집단간 관계·갈등 경험: 지역사회기관 이용자를 중심으로

        ○ 이민자의 관계·갈등 경험

        ○ 다수자의 관계·갈등 경험

         

        □ 집단간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 집단간 관계 증진을 위한 해외 정책 사례

        - 사회 전반적 조치

        - 일선 기관 차원의 조치

        - 정책 시사점

        ○ 집단간 관계 증진을 위한 정책과제

        - 정책 방향 설정

        - 정책의제

        - 구체적 조치

         

        ▣ 연구 추진방법

        □ 국내외 자료 분석 및 문헌 리뷰

        ○ 다문화수용성과 집단간 관계의 연관성

        ○ 다문화수용성, 집단간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코로나 사태가 다문화수용성, 집단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2015, 2018, 2021년 국민 다문화수용성 조사 원자료 분석

        ○ 성별, 연령대별 다문화수용성과 이주민과의 관계 추이

        ○ 다문화수용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주민과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주민과의 관계가 다문화수용성에 미치는 영향

        *성별, 연령대를 핵심 변수로 설정

         

        □ 지역사회기관 참여 관찰 및 담당자 인터뷰

        ○ 집중거주지역의 가족센터, 직업훈련시설, 사회복지관 등 이주민의 이용률이 비교적 높은 지역사회기관 참여 관찰 (2개 지역, 4개 기관 내외)

        - 기관 이용 전반에 관한 참여관찰

        - 다양한 배경의 이용자가 함께 참여하는 프로그램 참여관찰

        ○ 현장 전문가, 기관 담당자 인터뷰 (10명)

        - 지역사회, 일선 기관에서의 집단간 관계

        - 집단간 갈등 발생 상황, 구체적 사건

        - 집단간 관계에 대한 현장의 민감성, 관련 조치 등

         

        □ 집단간 관계, 갈등 경험자 인터뷰 (20명)

        * 지역사회기관 이용과정에서 집단간 관계 형성, 갈등 경험이 있는 시민 인터뷰

        * 이민자와 다수자 모두 포함

         

        □ 해외 정책 사례 분석

        ○ Intercultural Cities Programme(Council of Europe), EU, OECD 등의 관련 자료 수집, 분석

        ○ 개별 국가, 지방정부 차원의 관련 조치에 대한 자료 수집,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