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자원활동의 전문영역개발 연구
        구분 수시 상태 완료
        담당자 박영란 연구기간 1999-05-01 ~ 1999-09-01

        가. 연구목적
          여성의 자원봉사활동은 여성자신의 능력과 경험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발전에 기
        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사회참여를 통한 자아실현의 기회를 제공
        하기도 한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현재 활동 중인 여성자원활동자들은 보다 다양한
        자원활동 분야와 내용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학력  여성들의
        참여가능성도 높아지고 있음에 따라 여성자원활동자들이 활동할  수 있는 활동영역
        과 프로그램이 보다 다양하게 개발되고 전문적인 활동영역이 개발되어야 하는 필요
        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본 연구는 그  동안 한국의 자원봉사활동  발달과정에서
        주된 역할을 담당해온 여성자원활동자들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여성자원활동자들
        을 위한 보다 다양한 활동영역을 개발하고, 각 활동영역별 전문 자원활동자를 발굴
        하고 교육하는 종합적인 관리방안을 마련함으로써 여성자원활동의 발전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나. 연구내용 및 방법
          (1)  연구내용
            (가) 여성자원봉사(활동)자의 활동현황 분석
            (나) 자원봉사(활동)관리자의 관리 현황 분석
            (다) 여성자원활동자를 위한 전문활동영역 개발
            (라) 전문영역별 관리방안 개발
            (마) 여성자원활동 전문영역 관리매뉴얼 개발
          (2) 연구방법
            (가) 국내외 문헌연구
            (나) 전문가면담
            (다) 설문조사

        다. 연구결과
          (1) 여성자원봉사활동 활성화 방안
          자원봉사활동을 활성화를 위한 센터 및  기관/단체의 가장 필요한 지원으로는 우
        수하고 다양한 자원봉사활동 교육의 제공이 28.3%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양한 자원봉사프로그램의 제공이 24.2%였으며, 봉사자에게 적합한 활동 프로그램
        의 배치가 15.5%, 봉사자에 대한 적절한  지도와 평가가 10.2%, 봉사자 소모임활동
        에 대한 적극적 지원이 8.2%를 차지하였다. 한편 자원봉사발전을 위한 개인적인 노
        력에 있어서는 책임의식의 증진이 32.3%, 자신의 능력과 기술(전문성)에 적합한  자
        원봉사활동의 지속이 26.6%, 자원봉사활동관련지식의 습득이 23.7%로 응답하였다.
          (2) 여성자원활동 전문영역 개발
          본 조사의 결과를 보면 현재 여성자원활동자들이 현재 활동하는 분야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사회복지로 54.8%였으며 보건의료분야가  17.3%, 문화예술분야
        가 10.4%, 교육분야가 8.8%, 환경분야가 5.2%, 소비자분야가 2.7%로 나타났다. 향후
        활동 희망 영역에 있어서도 이러한  비율이 크게 변화하지는 않지만  문화예술분야,
        보건의료분야, 교육분야, 소비자분야, 환경분야 모두 확장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
        타났다. 향후 희망하는 활동분야와 활동은  현재활동하고 있는 내용보다 더  다양하
        였다. 그리고 여전히 사회복지영역에 치중되어 있기는 하나 각 영역별 구체적인 활
        동의 성격을 보면 상담, 안내와 같은  특정 분야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필요로  하는
        활동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여성자원활동 전문영역 관리매뉴얼 개발
          매뉴얼 구성 방법: 조사결과를 토대로 여성자원활동자의 특성에 대한  기초정보를
        제공하고, 문헌에서 나오는 자원봉사활동  관리의 일반적인 관리방안을  재구성하였
        다. 

        라. 기대효과
          (1) 여성자원활동 전문영역 프로그램 개발에 기여
          (2) 여성자원활동 관리자의 관리능력향상을 위한 교육교재로 활용
          (3) 여성자원활동 관리자의 전문성 강화에 기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