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단체장 선거에 나타난 여성 정치인의 도전과 진입장벽 개선방안
        구분 기본 상태 진행
        담당자 김은경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 목적
        □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여성 정치인이 희소한 원인이 무엇이며 그 원인을 개선할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으로서 이를 위해 다음의 내용을 연구하고자 함.

        ▣ 주요 연구내용
        □ 역대 광역단체장 여성 후보자 현황 및 정치경력 
          ○ 정당별 여성후보자 공천 실태 
          ○ 여성 후보자의 광역단체장 후보 전후의 정치경력

        □ 광역단체장 선거에서 남녀 후보자의 정치적 기회구조 비교분석 
          ○ 여성후보자 공천의 배경과 공천 결정 요인 
          ○ 남녀 후보자의 선거 공약 
          ○ 여성후보자 출마지역과 비출마 지역의 권역별 정당 지지도 
           
        □ 여성 광역단체장에 대한 정치적 수요에 대한 조사 
          ○ 여성 광역단체장에 대한 유권자의 정치적 수요  
          ○ 여성 정치인의 정치경력 최종 목표로서의 광역단체장 도전 의지와 경험 

        □ 해외 주요 정당의 여성 광역단체장 선출 및 지원 사례 
          ○ 여성 광역단체장(시장, 도지사, 주지사급) 현황 및 성평등 공약  
           - 프랑스, 독일, 영국, 네델란드, 미국 등 
          ○ 여성 정치인의 최고위급 정치경력 개발을 위한 도전과 정당의 역할
           - 국회(의회)의원 경력 이상의 정치경력 개발 사례 등 

        □ 정책제언 
        ○ 2026 광역단체장 선거 여성후보 공천 확대 방안  
        ○ 여성 정치인의 정치경력 지속을 위한 역량개발 및 네트워크 구축 방안 

        ▣ 연구 추진방법
        □ 문헌 연구 
        □ 심층면접조사(FGI) : 약 20명 내외 
          ○ 대상 : 여성 광역단체장 후보자 및 여성 정치인 약 15명 내외(주요 양대 정당 내 5명 내외, 소수 정당 5명) 양대 정당 내 고위급 남성 정치인 약 5명  
        □ 설문조사: 전국 남녀 유권자 약 1,000명 
        □ 전문가 자문회의 
        □ 연구결과 세미나 개최(1회) : 정당, 여성단체, 학회 등 공동주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