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혼기 및 임신 준비기 성·재생산 건강권 보장 정책의 방향과 과제
        구분 기본 상태 진행
        담당자 김동식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 목적
        □ 한국사회의 고착화된 만혼과 임신·출산의 고령화 상황에서 개인의 성적·재생산적 건강에 대한 인식 및 수준을 제고하고, 원하는 시기 건강하고 안전한 임신·출산 및 건강증진을 돕기 위해, 특히 예방적 측면에서 비혼기와 임신 준비기의 성·재생산 건강관리 지원에 초점을 두어 정책의 방향과 개선과제를 도출하고자 함. 

        ▣ 주요 연구내용
        □ 생애주기별 및 성별 성·재생산 관련 의료이용과 건강 이슈 분석
        □ 만혼과 임신·출산의 고령화에 따른 임신·출산의 결과와 관련 건강 이슈 및 의료비 추이 분석 
        □ 국내의 비혼기 및 임신 준비기 성·재생산 건강관리 지원 서비스 관련 현행 법제도 현황과 특징 및 해외 사례 분석을 통한 한계점과 시사점 도출
        □ 비혼기 및 임신 준비기 성·재생산 건강관리 서비스 이용 실태와 관련 지원정책에 대한 수요 파악 

        ▣ 연구 추진방법
        □ 문헌 연구
        □ 2차 자료 분석 
        □ 설문 조사: 30세 이후 임신·출산을 계획·준비 혹은 최근 경험한 20~39세의 비혼·기혼 남녀 800명
        □ 초점집단면접(FGI)
        □ 전문가 자문회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