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족 변화 대응 가족정책의 방향성 재정립과 추진체계 모색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진행
        담당자 김소영 연구기간 2025-01-01 ~ 2025-12-31

        ▣ 연구 목적
        □ 정책 수요자 입장에서 가족 변화의 특징과 의미를 규명하고, 이러한 변화와 가족정책의 정합성을 분석하여 가족정책의 방향성과 프레임을 재설계하고 그에 부합하는 추진체계를 모색

        ▣ 주요 연구내용
        □ 가족 변화의 의미 규명과 수요 탐색 
          ○ 문헌 및 통계 자료 분석을 통한 가족 변화의 추이 조명 
          ○ 수요자 참여형 워크숍 운영으로 가족 변화의 의미 규명과 수요 탐색
            - (잠재적) 정책 수요 집단이 참여하는 워크숍 운영을 통해 가족 변화의 의미를 해석하고, 변화에 대응하는 정책 수요 파악
         
        □ 가족정책의 구조와 전개 과정에 대한 분석
          ○ 가족정책의 구조와 추진체계, 정책 전개 과정에 대한 검토
          ○ 정책에 전제된 가족의 개념, 정책 목표와 범주 변화 특징과 맥락 분석

        □ 가족 변화와 정책의 정합성 분석
          ○ 가족 변화 진단에 비추어 현행 가족정책의 목표, 대상, 범주 및 체계의 정합성 분석, 논의

        □ 해외 가족정책 사례 연구
          ○ 해외 가족정책의 최근 동향과 추진체계 검토
          ○ 가족 변화를 반영한 정책의 범위, 추진체계 변화 등 사례 분석
           - 느슨한 연대/공동체, 제도 밖 가족/파트너십 등을 지원하는 2개 국가를 선정해 정책의 범위 확대 맥락, 추진체계 등을 분석함.
          
        □ 향후 가족정책의 방향성 도출 및 추진체계 모색 
          ○ 가족 변화에 대응하는 가족정책의 방향성 재정립
          ○ 재정립한 방향성으로 가족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체계 제안   

        ▣ 연구 추진방법
        □ 문헌연구:
        □ 통계 자료 분석
        □ 수요자 참여형 워크숍 운영
        □ 해외 가족정책 사례 연구
        □ 워킹그룹 워크숍 운영 
        □ 전문가 자문회의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