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과제

성인지 통계시스템 운영 사업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문유경 연구기간 2016-01-01 ~ 2016-12-31

▣ 사업책임자

   문유경 선임연구위원


▣ 사업의 필요성 및 목적

□ 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3단계 사업 추진 방향을 고도화로 설정하고 2013년∼2015년에 걸쳐 주요
   사업을 추진하였음.

□ 2016년은 지난 10년간의 사업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새로운 도약을 모색할 시점임. 즉 기존의 큰
   방향인 정책지원형 성인지 통계와 국민 체감형 성인지 통계의 두 축을 유지하면서 PC기반의 이용자에서
   스마트폰으로 이용자 이동, 빅데이터 등 심층 통계자료의 생산 등 외부 기술 환경의 변화를 고려한
   새로운 시도가 필요함. 이를 위해 2016년의 사업목적은 아래와 같음.

○ 여성정책지원형 통계 DB의 지속적 개발
○ 기구축된 통계 DB의 고품질 유지와 갱신
○ GSIS 시스템의 안정적 유지
○ 모바일 웹 통계의 확대와 서비스 개발
○ 일반인들이 이해하기 쉬운 시각화 컨텐츠의 생산 강화
○ 인지도 제고 및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 등

▣ 주요 사업내용

□ 2010년 사업내용

○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I): 성별영향평가사업 지원을 위한 성 인지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
○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
○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
○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

□ 2011년 사업내용

○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II): 성인지예산제도 지원을 위한 성 인지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개발
○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
○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
○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계속)
○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계속)
○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및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 2012년 사업내용

○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III): 여성정책 현안 여론조사 시스템 구축
○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계속)
○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계속)
○ 성 인지 통계 온라인 간행물 서비스 실시
○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계속)
○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계속)
○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및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 GSIS 정책 지원 역량 강화 및 고도화를 위한 정보화전략계획(ISP) 수립
○ 사업결과보고서 작성

□ 2013년 사업내용

○ 국제 성 인지 통계 강화
○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Ⅳ): 광역 지자체 성인지예산·성별영향분석평가 지원용 통계DB
   서비스 시스템 구축
○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계속)
○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계속)
○ 성 인지 통계 온라인 간행물 서비스 실시
○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계속)
○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계속)
○ 성 인지 통계DB 시의성 강화 및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 2014년 사업내용

○ 성인지 통계 DB 갱신과 품질 제고
○ 국가 성평등 지표의 컨텐츠 기획과 구축
○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Ⅴ):
○ 국제 성 인지 통계 강화
○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계속)
○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 근로여성 보건지표 DB 구축
○ 성 인지 통계 온라인 간행물 서비스 실시
○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계속)
○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계속)
○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 2015년 사업내용

○ 성인지 통계 DB 품질 제고
○ 성 인지 통계 시스템 업그레이드
○ 국가성평등 지표의 컨텐츠 갱신과 확산
○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ⅤI):
○ 국제 성 인지 통계 강화
○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계속)
○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계속)
○ 성 인지 통계 온라인 간행물 서비스 실시
○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 사업결과보고서 작성


□ 2016년 사업내용

○ 성인지 통계 DB 고품질 유지
 - 성인지 통계 DB의 신속한 상시 갱신
 - 통계자료의 타당성, 적합성, 시의성, 일관성 등 품질 자체 평가

○ 모바일 웹 통계의 확대와 서비스 개발
 - 모바일 웹에 적합한 통계와 지표 형태의 개발
 - 관련 서비스 개발

○ 국가성평등 지표의 컨텐츠 갱신과 확산
○ 정책 지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ⅤI):
 - 광역과 지자체 성인지 통계 발굴 : 성인지통계정보시스템에 기구축되지 않은 광역 및 지자체의 구축 가능한
  성인지 통계 점검 및 DB 구축 방안 마련
 - 여성가족부, 행정안전부 등 부처의 관련 시스템 연계 방안 마련
 - 중앙 행정기관 성인지예산사업 지원 서비스 시스템 확대(계속)
 - 중앙 행정기관 성별영향분석평가사업 지원 서비스 시스템 확대(계속)

○ 국제 성 인지 통계 강화
 - 성 평등 상태를 보여주는 세계지도 제공
 - 국제 성 인지 통계DB 업데이트
 - MDG 통계DB 업데이트

○ 국민 체감형 성 인지 통계 정보 확산: 일반 국민의 여성정책 체감도 제고를 위한 킬러콘텐츠 개발 및
   관리(계속)
 - 통계분석자료집(KWDI 성 인지 통계 REPORT 등) 기획, 작성 및 발표
 - 성 인지 통계를 활용한 영역별 인포그래픽 기획 및 제작
 - 한국형 Gender Equal-X(KOGE-X) 관리
 - 지도로 보는 지역 성 인지 통계 관리
 - 신규 콘텐츠 개발 및 서비스
 - 기타 웹 콘텐츠 생산, 관리

○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및 서비스 시스템 확산 및 관리(계속)
 - 7차 사용자 집단별 여성 정책 통계 수요 파악 : 공무원·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해 통계 DB 구축이 필요한
   현안을 신속하게 파악
 - 7차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구축 : 50개 내외
 - 7차 사용자 집단별 특화형 여성 정책 통계DB 서비스 시스템 구축

○ 성 인지 통계 연구와 DB 시스템 운영에 대한 주요 선진국 사례 분석
○ 주요 선진국 통계기관 방문과 통계기관 네트워크
 • 선진 통계제도, 통계작성 현황 및 환경, 최신동향 습득
 • 방문국 : 유럽연합 통계청(Eurostat, 룩셈부르크 소재), 영국 통계청, 스웨덴 통계청 등 방문 가능 국가
   2개 내외
○ 성 인지 통계 온라인 간행물 서비스 실시
 -「한국의 성 인지 통계」간행물 제공

○ 인지도 제고 및 이용활성화를 위한 홍보 행사 기획 및 실시(계속)
 - 홍보물 제작 및 배포
 - 성 인지 통계 정보시스템 개선 제안 공모
 - 이용자 활용 실태 및 만족도 조사

○ 전문가 자문회의 및 포럼 개최
 - 성인지 통계 전문가 워크숍 및 자문회의
 - 성인지 통계와 빅데이터 포럼(연1회)

○ 관련 사이트 및 기관과의 서비스 연계(계속)
 - 관련 부처, 연구기관, 지자체, 관련 사이트와의 연계 확대
 - 배너 교환 등을 통한 연계 서비스 강화

○ GSIS 시스템 안정적 유지(계속)
 - H/W 및 S/W 유지, 관리
 - 운용서버와 개발서버 분리를 통한 시스템 안정성 강화

▣ 기대효과

□ 성별영향분석평가, 성인지예·결산제도 시행에 필요한 기초 성 인지 통계 정보 제공을 통한 동 제도의
   효율적 시행에 기여

□ 성인지 통계의 생산 및 보급에 기여 
 ※관 련 법: 통계법 제6조 제1항 제3호, 통계법 제18조 제1항
 ※관 련 법: 양성펻등기본법 제17조(성인지 통계)
 ※관련정책: 제4차여성정책기본계획 7-1-4 성인지통계 생산 확대 및 체계적 관리

□ 한국 여성의 사회경제적 지위, 한국의 성평등 수준에 대한 통계 정보 제공을 통해 일반 국민의 성평등
   의식을 제고하고, 여성 지위 및 성평등 수준 개선에 기여

□ 성 인지 통계의 확산 및 보급을 통해 성 인지 통계 분야의 연구를 촉진하여 성 인지 통계 발전에 기여

□ 성 인지 통계 정보 서비스의 안정적 제공 및 시스템 활용도 제고

□ 한국여성의 국제지위 분석에 활용

□ 여성정책수립 및 평가의 기초 자료로 활용

□ 지역여성 정책 및 연구의 활성화

□ 성 인지 통계 및 지표 개발 촉진

□ 한국여성현황과 지위를 신속적이고 체계적으로 파악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