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환기의 여성일자리 연구(Ⅱ): 경력개발과 사회적 보호 체계
        구분 기본 분야 사회/문화
        연구자 신선미/박성정/이택면/이주영/강경주/김효경/길현종/정한나
        발간년도 2021
        첨부파일 (일반) 디지털 전환기의 여성일자리 연구(II) - 신선미(보이스아이).pdf ( 11.86 MB ) [미리보기]
        Ⅰ. 서 론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연구내용과 연구방법
          3. 연구의 제한점

        Ⅱ. 선행연구와 정책동향
          1. 디지털 전환의 의미와 현황
          2. 디지털 전환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
          3. 일자리 정책의 동향

        Ⅲ. 여성 일자리 변화 분석
          1. 서론
          2. 숙련수준별 여성일자리 변화44
          3. 디지털 전환 기술 활용 기업의 여성 인력 활용
          4. 여성 과학기술인력 현황과 근로조건 분석
          5. 결론 및 시사점

        Ⅳ. 중소제조업의 여성 일자리 변화와 정책과제
          1. 서론
          2. 중소제조업의 정보화와 여성 인력 현황
          3. 디지털 전환에 따른 여성 인력 활용 실태조사
          4. 요약 및 정책제언

        Ⅴ. 간호정보시스템 활용에 따른 간호사 일자리 변화와 정책과제
          1. 서론
          2. 병원정보화와 간호정보시스템
          3. 실태조사 결과
          4. 요약 및 정책제언

        Ⅵ. 여성 SW개발자와 경력단절 위기와 인공지능 산업 진출 방안
          1. 서론
          2. SW 개발분야 여성인력 실태조사
          3. 요약 및 정책제언

        Ⅶ. 크라우드워크의 근로실태와 정책과제
          1. 서론
          2. 크라우드워크의 정의와 쟁점
          3. 크라우드워커의 근로실태에 관한 조사
          4. 요약 및 정책제언

        Ⅷ. 여성 구직자의 디지털 전환 대응 실태조사
          1. 서론
          2. 여성 구직자의 정보능력과 구직활동
          3. 디지털 기술이 여성 구직자에게 미치는 영향
          4. 요약 및 정책 제언

        Ⅸ. 결 론
          1. 연구 결과 요약
          2. 정책과제 제안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이 연구는 디지털 전환이 여성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에 대응하기 위한 정책방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2개년에 걸친 연속과제이며 1차 연도 연구(오은진 외, 2020)는 디지털 전환으로 인한 여성 일자리의 변화를 조사?분석하여 미래를 대비하기 위한 정책과제를 제안하였다. 올해의 연구는 2차 연도 연구로 특히 경력개발과 사회적 보호 문제에 초점을 맞추었다. 연구분야는 1) 중소제조업, 2) 보건의료서비스업에서 특히 간호서비스, 3) 인공지능산업, 4) 크라우드워크 플랫폼이다.

        <이하 원문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