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기반형 플랫폼 여성 종사자의 근로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창작 및 전문서비스 분야를 중심으로 | |||
---|---|---|---|
구분 | 기본 | 분야 | 노동/경제 |
연구자 | 이민호/오은진/노우리/정인관 | ||
발간년도 | 2024 | ||
첨부파일 |
[기본] 웹기반형 플랫폼 여성 종사자의 근로실태 및 개선방안 연구 - 이민호(보이스아이).pdf ( 6.57 MB ) [미리보기] |
||
Ⅰ. 서 론
Ⅱ. 웹기반형 플랫폼 노동 관련 쟁점과 정책 동향 Ⅲ. 웹기반형 플랫폼 노동의 특징 및 근로실태 분석 Ⅳ. 웹기반형 플랫폼 종사자 면접조사 Ⅴ. 결론 및 정책과제
○지난 10여 년간 IT 기술의 발전과 코로나19 팬데믹은 디지털 경제와 디지털 노동 플랫폼의 급속한 성장을 촉진했음. 디지털 노동 플랫폼은 크게 지역기반형과 웹기반형으로 나뉘며, 최근 웹기반형 플랫폼 노동의 성장과 함께 고학력?고숙련 여성들의 참여가 증가하고 있음. 웹기반형 플랫폼은 특히 시간적?공간적 유연성이 크고 자율성이 높아 돌봄 및 가사책임을 병행하고자 하는 여성에게 매력적인 일자리가 될 수 있음. 실제로, 우리나라 웹기반형 플랫폼 종사자의 58%가 여성으로, 이는 지역기반형보다 훨씬 높은 비율임.
○그러나 이러한 유연성과 자율성이 여성들에게 경력단절을 예방하고 일?생활균형을 제공하는지에 대해서는 의문이 제기됨. 특히 모성보호와 경력개발 측면에서, 불규칙한 작업 시간과 돌봄 책임이 여성 종사자들에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경력개발을 위한 교육 및 훈련의 기회 또한 부족함. 또한, 웹기반형 플랫폼에서도 성별에 따른 차별과 불공정거래 문제가 발생하고 있으며, 이는 여성 종사자들이 직면한 중요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음.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웹기반형 플랫폼 노동이 여성들에게 품위 있고 지속가능한 일자리가 될 수 있도록 모성보호, 경력개발, 불공정거래 측면에서 여성 종사자의 근로 실태를 분석하고, 성별 이슈에 대한 구체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하고자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