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세대의 성별 디지털안전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
---|---|---|---|
구분 | 기본 | 분야 | 사회/문화 |
연구자 | 김애라/정연주/최윤정/김효경/홍남희 | ||
발간년도 | 2024 | ||
첨부파일 |
[기본] 청년세대의 성별 디지털안전 경험 및 인식에 관한 연구 - 김애라(보이스아이).pdf ( 10.03 MB ) [미리보기] |
||
Ⅰ. 서 론
Ⅱ. 디지털안전과 젠더에 관한 이론적 논의 Ⅲ. 청년세대의 디지털안전 경험과 인식 현황 Ⅳ. 청년세대의 디지털안전 경험: 면접조사 분석 Ⅴ. 해외사례 및 정책 동향 Ⅵ. 요약 및 정책적 시사점
○디지털 기술 변화가 미치는 사회적 영향력이 증가함에 따라 젠더기반 차별 및 폭력의 유형 역시 더욱 다양화되고, 새로운 형태의 폭력이나 차별이 등장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음. 성차별과 여성에 대한 일상적인 성적 대상화는 디지털공간에서 발생하는 젠더기반 폭력의 주요 배경으로 지목되고 있음.
-디지털공간이 사회적 공간으로 자리 잡은 오늘날, 디지털환경의 일상성과 문화적 성격을 고려한다면, 디지털안전과 관련된 제도 및 정책들이 디지털성범죄 등과 같은 범죄, 처벌 중심으로만 논의되는 것은 한계적일 수 있음. -이에 디지털성범죄 및 혐오표현, 차별 담론 등을 디지털환경의 ‘안전’이라는 보다 포괄적 개념을 통해 일상적이고 구조적 측면에서 새롭게 담론화, 정책화할 필요가 있음. -본 연구에서는 이 같은 필요와 목적에 의해 청년세대를 중심으로 디지털안전 현황과 인식을 살펴보려 함. ○2010년대 이후 줄곧 사회문제로 여겨져 온 가짜뉴스, 디지털 성폭력은 특히 청년세대의 사회 인식 및 폭력 경험에서 중요한 이슈로 부각되고 있음. 이들은 한국 사회 내 첫 ‘디지털 네이티브’ 세대로 온라인상에서의 활동 빈도가 매우 높은 반면, 관련 교육 경험은 부족한 실정임. -이에 청년세대의 성별 디지털안전에 관한 경험 및 인식에 대한 조사를 통해 디지털 사회가 고도화되는 만큼 예상할 수 없는, 혹은 아직 정책적 측면에서 발견하지 못한 디지털안전 이슈(위험 요인)를 발굴하고자 함.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