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년 세대를 중심으로 우리 사회에서 젠더 갈등이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정치에 참여하는 청년 세대 정치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음. 이에 본 연구는 청년 정치인의 성평등 의식과 관심 현안이 청년 유권자를 얼마나 대표하고 있으며, 청년 정치인의 증가가 가져올 정치 문화의 변화는 무엇인지 조사?분석하였음.
- 분석 결과, 청년 정치인의 성평등 의식은 청년 유권자에 비해 훨씬 높았고, 우리 사회가 여성에게 불평등하다는 인식 수준도 여성 응답자와 큰 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청년 유권자와는 다른 성평등 의식을 보여주었음.
-정치 문화의 변화를 가장 크게 기대한 분야는 성별과 관계없이 정치 참여 > 수평주의 > 신뢰 > 소통?균형의 순으로 나타남.
- 청년 정치 참여 과정에서 청년 정치인이 주된 관심을 두는 정책 분야는 성별에 따라 차이를 보였음. 청년 여성 정치인의
주요관심 정책은 여성(36.5%), 청년(30.8%), 사회적 약자 및 소수자 보호(30.8%), 그리고 성평등 (30.8%)순이었으며,
청년 남성 정치인의 주요 관심 정책은 이와는 달리 청년(24.5%), 경제 및 일자리(24.5%), 차별 및 불평등(22.4%), 그리고
환경(22.4%) 순으로 나타남.
- 정치활동에서 겪는 어려움에서도 성별 차이가 나타났는데, 청년 여성 정치인의 경우 기성 정치인과의 네트워크나 정당 활동 에서 성차별적 정치 문화로 인해 어려움이 있었다고 밝힘.
- 청년 정치인의 증가가 성평등 정치 문화를 앞당긴다고 전망할 수 있으나, 좀 더 확실하게는 청년 여성 정치인의 증가가 성평등과 청년 여성의 현안을 대변할 것이라 예견됨.
-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우리 사회에서도 청소년 시기부터 학교 교육이나 사회교육을 통해 성평등 의식 교육을 실시하여 성평등 의식을 갖추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다는 점, 청년 정치인이 선거에 참여할 때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도록 법 개정이 필요하다는 점, 청년 정치인 육성과 청년 현안에 공감대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정당 내에서 주요 의사결정과정에 청년과 여성의 참여를 보장하도록 해야 한다는 점, 국회와 지방의회 같은 정치 영역의 조직이 성인지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제도적 장치가 마련될 필요가 있다는 점 등을 정책 방안으로 제시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