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입법 공백기 여성의 임신중단 경험과 정책 대응 과제
        연구사업 수시연구사업 출간연도 2025
        주관·관계 보건복지부 출산정책과/보건복지부 보험급여과,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 식품의약품안전처 의약품허가총괄과,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저출산정책총괄과
        첨부파일 [KWDI이슈페이퍼]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입법 공백기 여성의 임신중단 경험과 정책 대응 과제(김동식)_20250731.pdf ( 959.18 KB ) [미리보기]

        - 본 연구는 헌법재판소의 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이후, 대체입법이 마련되지 않아 입법 공백이 장기화되고 있는 현시점에서, 임신중단을 고려했거나 실제로 경험한 여성들이 겪는 어려움을 파악하고자 하였음. 
        - 이를 바탕으로 여성의 안전한 임신중단과 자기결정권 보장을 위한 대체입법 마련의 시급성을 지적하고, 향후 정책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함.
        * 유산유도제의 신속한 허가 및 관련 정보 체계 구축
        * 다양한 의료기관을 통한 유산유도제 접근성 확대
        * 약물적, 수술적 임신중단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 및 경제적 부담 완화
        * 숙려기간 및 제 3자 동의 의무의 폐지
        * 임신중단 의료기관 승인 및 관리체계 마련
        * 임신중단 정보의 접근성 보장 및 허위정보 모니터링 강화
        * 안전한 임신중단을 위한 의료인 교육 및 구체적인 가이드라인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