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기반폭력 피해 여성의 노숙 생활과 안전 및 건강의 위기 상황 분석
        연구사업 기본연구사업 출간연도 2025
        주관·관계 보건복지부 자활정책과, 보건복지부 양성평등정책담당관/여성가족부 권익정책과
        첨부파일 [KWDI이슈페이퍼] 젠더기반폭력 피해 여성의 노숙생활과 안전 및 건강의 위기상황분석(김동식)_20250715.pdf ( 966.42 KB ) [미리보기]

        -현재 노숙 문제는 주거 부재를 넘어 사회적 약자들이 겪는 구조적 요인이 맞닿아 있는 심각한 사회문제임. 특히 여성노숙인은 남성노숙인과 다르게 다양한 젠더기반폭력에 의해 거리로 내몰리는 양상을 보임. 
        -여성노숙인은 거리에서의 안전과 생존을 위해 자신을 의도적으로 숨기는 등 비가시화하는데, 이는 또 다른 사회적 배제와 차별의 원인이 됨.
        -또한 여성노숙인이 겪는 폭력과 건강 이슈는 단순히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사회의 구조적 문제와 깊은 연관성이 있음. 그러나 여성노숙인의 소수성과 비가시성으로 인해 성인지적 노숙인 지원정책은 부족한 상황임.
        -이 연구는 여성의 노숙생활 진입의 원인으로서 장기간 지속?반복된 젠더기반폭력의 영향과 여성노숙인으로써 겪는 다양한 형태의 폭력 등 안전과 건강의 위기 상황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함. 
        -특히, 안전과 건강 이슈를 갖고 있는 여성노숙인의 ‘비가시성’과 ‘소수성’이 정책적 배제를 초래하고 있음을 다양한 자료에 근거하여 지적하면서, 성인지적 정책 개선과 맞춤형 지원체계 구축의 필요성을 제안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