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재선 이메일 보내기 | |||
---|---|---|---|
소속 | 양성평등연구본부 | 직급 | 선임연구위원 |
전공분야/담당업무 | 통계학 | 전화번호 | 02-3156-7192 |
학력 | 통계학 박사/성균관대학교 | ||
경력 | '97. 5∼현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
연구분야 | 성평등지수개발, 성인지통계, 여성가족패널, 여성사회지표 | ||
연구실적 | - 성폭력 피해자 지원실적 입력 가이드 개발 연구(한국인권진흥원, 2021)
-검찰양성평등지표개발 및 현황분석연구(대검찰청, 2021) -2021 지역성평등보고서(여성가족부, 2021) -2021 국가성평등보고서(여성가족부, 2021) -2021년 국가승인통계의 성인지적 개선방안 연구(여성가족부, 2021) -가족분야 성인지통계교육프로그램개발(여성가족부, 2021) -2021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여성가족부, 2021) -문화체육관광부 성인지 통계 분석 연구(2021) -2021년 성희롱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21) -2020년 제4차 가족실태조사 분석 연구 및 부가연구 조사(여성가족부, 2021) -양주시 성인지통계(양주시, 2021) -안양시 성인지통계(안양시, 2021) - 경찰청성인지통계지표수립연구(경찰청, 2020) - 가족분야 성인지통계교육프로그램연구(여성가족부, 2020) - 여성폭력통계 구축 및 운영 위탁사업(여성가족부, 2020) - 여성폭력피해자지원통계개선방안연구(한국여성인권진흥원, 2020) - 지역성평등지수개편연구(여성가족부, 2020) - 여성 고용·노동 동향 및 주요 이슈 심층분석(여성가족부, 2018-2020) - 저출산 사회 전환 대응을 위한 가족 다양성 포용 정책(경사연 협동연구, 2019) - 2020년 가족실태조사 예비조사 연구(여성가족부, 2019) - 여성폭력통계체계 구축 및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여성가족부, 2019) - 성폭력안전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19) - 성인통계교육프로그램(여성가족부, 2019) - 성인지통계 생산 및 활용안내서(여성가족부, 2018) - 성희롱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18) - 폭력예방굥규등 성희롱성폭력방지조치실태분석(여성가족부, 2018) - 국가승인통계의 성인지적 개선방안 연구(2016~) - 국가성평등수준점검지표개발(2017) - 성별영향분석평가와 성인지예산제도 내실화를 위한 성인지통계 개선 연구(2017) - 한국의 성평등보고서(여성가족부, 2010~2019) - 지역별 성평등 수준분석(여성가족부, 2012~) - 여성가족패널조사(2010~) - 성인지통계시스템운영사업(2011,2013,2015~) - 한국의 성인지통계(2008~2019) - Women in Korea(2006~2019) - 가정폭력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16, 2019) - 성폭력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16) - 송파구 여성친화도시 조성을 위한 성인지통계연구(2016) - 한국호주간여성건강관련패널조사비교연구(2016) - 성별영향분석평가 종합분석 결과보고서 작성 및 지원(2016) - 사업·계획 분석평가 검토, 정책개선 및 컨설팅 지원(2016) - 2016년 성별영향분석평가 센터 총관 관리·지원(2016) - 성인지정책평가지표개발연구(2016) - 양성평등실태조사(2016) - 여가와 사회 및 인적자본간의 시간배분변화분석(2016) - 학교성교육자료보완 및 성교육표준안운영실태조사연구(2016) - 2016년 중앙성별영향분석평가센터운영 - 여성의 사회적 지위향상지표(2015) - 2016년 군 성폭력 실태조사 사전연구(여성가족부, 2015) - 생활시간조사를 통해 본 가족시간의 변화추이 분석 연구(여성가족부, 2015) - 2015년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동향 및 추세 분석 연구(여성가족부, 2015) - 저출산 대책의 정책 효과성 제고 방안 연구(기획재정부, 2015) - 가족실태조사 분석연구(여성가족부, 2015) - 성인지 통계 소스북(Source Book) 개발(여성가족부, 2015) - 국가인권지수 모의 측정 및 관리방안 연구(국가인권위원회, 2014) - 성격차 해소를 위한 실천과제 발굴(2014) - 국가통계의 성인지적 개선방안 연구(2014) -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동향 및 추세 분석 연구(여성가족부, 2013~2014) - 주요정책부문별 성인지통계 개선·개발연구(여성가족부, 2013) - 성인지예산제도 시행을 위한 통계구축(안산시, 2013) - 전국 가정폭력성폭력 실태조사(여성가족부, 2013) - 국가인권지수개발을 위한 지표선정 및 지수개발(국가인권위원회, 2013) - 국가승인통계의 성인지통계생산현황(여성가족부,2012) - 2012년도 전국 다문화가족실태조사 조사표설계 및 심층조사연구(여성가족부,2012) - 국가인권지수개발을 위한 지표 풀 등 기반구축연구(국가인권위원회,2012) - 경제사회지표 변화 조사연구(경제인문사회연구회,2012) - 지역성평등지수표준안개발연구(여성가족부, 2011) - 성별고용평등지표 국제비교 및 개선방안검토(고용노동부, 2011) - 성별영향평가의 대상정책선정기준과 절차에 관한 연구(여성가족부, 2011) - 2010년 지역성인지통계 - 국가비승인통계의 성별분리 실태 점검 및 개선방안(여성가족부, 2010) - 성인지통계정보시스템 업그레이드 및 유지관리(2010) - 베이붐세대 남녀특성 비교연구(2010) - 근무유형별 근로실태에 관한 조사 및 분석연구(고용노동부, 2010) - 국가경쟁력강화를 위한 성 평등지수 관리방안(2009) - 성별영향평가 DB구축 및 운영방안(2009) - 성별통계중장기실천계획수립(여성부, 2009) - 성평등지표개발과 측정방안연구(여성부, 2009) - 성별영향평가DB구축방안연구(여성부, 2009) - 2009년 성인지통계정보시스템업그레이드 - 2009 통계로 보는 광주여성(광주여성희망포럼, 2009) - 한국여성의 지위, 어제와 오늘(2008) - 제3차년도 성인지통계정보시스템구축 - 성별영향평가 DB 구축방안연구((여성부, 2008) - 성별통계 생산·활용 실태 점검 및 개선 방안 연구(여성부, 2008) - 인재 배분 통계 실태 분석 연구(한국교육개발원, 2008) - 여성통계연보(1997~2007) - 2007 도표로 보는 여성통계(2007) - 성인지통계정보시스템 구축(1~2차 사업, 2006~2007) - 통계법 개정에 따른 성별 통계 활성화 방안(여가부, 2007) - 성인지지식정보자원구축사업(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7) - 2006 지역여성통계(2004,2006) - 남녀별 통계 국제적 추진실태 비교분석을 위한 연구(여가부, 2006) - 도표로 보는 여성통계(2005) - 성인지통계혁신전략(여성부, 2004) - 도표로 보는 여성통계(2003) - 2003 고양여성통계(2003) - 2003 경기통계연보(2003) - 성인지적 경기통계분석 및 개선방안(2003) - 2003 대전여성통계(2003) - 보육사업의 공공화 및 다양화 실행방안 연구(2003) - 여성보건복지:현상과 통계(2001) - 여성인적자원개발 및 활용제고를 위한 추진전략(2001) - 여성통계연보 체계개편과 이용활성화 방안 모색(2001) - 노동통계의 성인지적 개선 방향(2001) - 경기여성통계(경기도청,2000) - OECD 회원국의 여성고용정책(1999) - 지역별 여성 경제활동 및 여성인력 수급 동향 (한국직업능력개발원,1999) - 한국여성인구의 특성 및 변화(통계청,1997) - 광주여성통계연보(광주시, 1999) - 대전여성통계연보(대전시, 1999) - 대구여성통계연보(대구시, 1999) - 제주여성통계연보(제주시, 199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