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선미 이메일 보내기 | |||
---|---|---|---|
소속 | 여성미래연구본부 | 직급 | 선임연구위원 |
전공분야/담당업무 | 교육학 | 전화번호 | 02-3156-7125 |
학력 | - 서울대 가정관리 학사
- 서울대 대학원 교육학과 석사(교육사회학 전공) - Universite de Paris 8 Saint-Denis DEA(교육학 전공) - Universite de Paris 8 Saint-Denis 교육학 박사 |
||
경력 |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원('93.6-'98.8,기간중4년11월) | ||
연구분야 | 진로정책, 교육-고용관계, 직업교육 | ||
연구실적 | 미래사회 성평등 책의 도전과제(I):과학기술 및 신산업 기술개발 젠더혁신(2022)
학교 양성평등교육 운영 방안 연구(2022) 디지털 전환기의 여성일자리 연구(Ⅱ): 경력개발과 사회적 보호 체계(2021) 국립대학 양성평등 추진실적 평가 및 지원 사업(2021) 남녀 과학기술인 경력실태조사에 대한 시범조사(2021) 성별 전공분리, 직종분리, 임금격차의 관계 : 4년제 신규 대졸 취업자를 중심으로(2021) 노동시장 성 격차 해소를 위한 분야별 전략개발(III): 성별 전공분리를 중심으로(2020) 여성 직업능력개발 현황진단 및 개선방안(2020) 직업훈련 및 취업알선에서의 성별 직종분리 현황 및 개선방안(2020) 남녀 과학기술인 경력경로 실태조사 기획연구(2020) 산업별 여성임원 확대 장애요인 및 개선방안 연구:ICT산업을 중심으로(2020) 경력단절여성 취업지원 비대면 서비스 활성화 방안 연구(2020) 경험학습인증 제도 연구:프랑스 사례를 중심으로(2020)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경력개발 등을 위한 컨설턴트 육성방안(2020) 청년·여성 등 취약계층에 대한 적극적 노동시장정책 현황 및 효과성 분석(2019) 중소기업 인력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평가(2019) 청년 창업 지원 사업 특정성별영향평가(2019) 기술발전에 따른 여성 일자리 전망과 대응전략(II):플랫폼 일자리를 중심으로(2019) 금융권 내 여성임원 육성을 위한 지원방안(2019) 민간기업 여성임원 확대 제도화 방안 연구(2019) 청년여성의 직업훈련 참여실태와 정책과제(2017) 4차 산업혁명기술이 직무에 미치는 영향 분석(2017) 벤처기업 진입 지원정책 특정성별영향분석평가(2016) 2016년 청년여성 특화 프로그램 개발 및 총괄운영(2016) 미래여성인재 육성정책 개선방안(2016) 고졸 여성청년층의 진로·취업 및 경력개발 현황과 정책과제(2014) 정부 R&D지원사업 특정성별영향평가(2014) 성격차 해소 실천과제 이행을 위한 기초조사(2014) 성격차 해소를 위한 실천과제 발굴(2014) 2014년 여대생커리어개발 지원사업 컨설팅 및 성과분석(2014) 제2차 경력단절여성 등의 경제활동촉진 기본계획 수립연구(2014) 미취업 여성청년층의 취업준비활동 효과와 취업지원방안(2013) 여성과학기술인 백서발간을 위한 기초연구(2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