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선영 이메일 보내기 | |||
---|---|---|---|
소속 | 성인지예산센터 | 직급 | 명예선임연구위원 |
전공분야/담당업무 | 노동법, 법여성학 | 전화번호 | 02-3156-7108 |
학력 | 법학 박사 / 오사카시립(大阪市立)대학 | ||
경력 | 2003.5.~ 현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위원) 선임연구위원
2023.7.~ 현재 한국괴롭힘학회 공동대표 2014.12.~ 현재 중앙노동위원회 공익위원 2021.9.~ 2023.8. 대법원 사법행정자문회의 위원 2021.7.~ 2024.6. 경기도북부자치경찰위원회 위원 2022.2.~ 2024.1. 국방부 양성평등위원회 위원 2022.1.~ 2023.12. 교육부 남녀교육평등심의회 위원 2021.3.~2023.2 한국젠더법학회 회장 2021.1.~2022.12. 문체부 양성평등정책위원회 위원장 2020.1.~ 2022.12 문체부 문화예술공정위원회 위원(비상임) 2020.3.~2022.2.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성평등노동권분과위원장 2018.4.~2020.4. 교육분야 성희롱.성폭력 근절 자문위원회 위원 2018.8.~2019.6. 문체부 성희롱.성폭력 대책위원회 위원 2016.2.~2020.2. 경기도 성평등위원회 위원 2014.3.~2018.3. 서울시 성평등위원회 위원 2017.9.~2018.9. 여성가족부 정책자문위원 2014.6.~2017. 법무부 인권정책자문위원회 위원 2015.3.~2015.12. 일본 Ryukoku University 법과대학 객원연구원 2004년~ 2007년 대통령자문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전문위원 2001년~ 2003년 청와대 삶의질향상기획단 특별연구원 2000년~ 2001년 도쿄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객원연구원 |
||
연구분야 | 여성.가족관련 법률정책
여성노동관련 법률과 정책 직장 및 조직내 젠더폭력 및 괴롭힘 관련 법률과 정책 차별시정 및 인권보장 관련 법률과 정책 법령에 대한 입법평가 |
||
연구실적 | < 보고서>
- 여성가족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Ⅹ) :성평등 정책 추진체계 강화를 위한 법제 정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1년 - 여성가족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Ⅷ) 정치관계법제의 성인지적 개선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20년 - 여성폭력 2차 피해 방지정책 연구, 여성가족부, 2020년 - 성인지적 근로감독행정 강화방안: 고용상의 성차별·성희롱 예방·시정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년 - 경력단절 여성 등 경제활동촉진법에 대한 입법평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년 - 여성·가족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Ⅶ): 가족의 다양화에 따른 법적 대응,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년 - 성평등정책 추진체계 실질화를 위한 젠더거버넌스 강화방안 : 양성평등정책담당관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년 - 고용평등상담실 운영현황과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9년 - 스포츠 분야 폭력/ 성폭력 관련 판례분석 및 구제방안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9년 - 차별판단기준 기초조사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9년 - 가족다양성 포용을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2019년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Ⅵ): 성 주류화 관련 법제 정비 방안,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8년 - 직장내 성희롱/성폭력 사건처리 매뉴얼 , 여성가족부, 2018년 - 성희롱/성폭력 피해자 지원체계 개선방안 연구 , 여성가족부, 2018년 - 문화예술계 여성종사자 인권상황 실태조사 , 국가인권위원회, 2018년 - 여성/가족 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Ⅴ); 남녀고용평등법 30년의 성과와 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7년 - 가사서비스 공식화 조기 정착을 위한 제도적 보완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017년 - 채용과정 차별실태 모니터링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7년 - 초중고 교사에 의한 학생 성희롱 실태 조사 국가인권위원회, 2017년 - 여성.가족 관련 법제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Ⅳ) : ① 가족돌봄제도 심층분석, ② 제20대 국회 여성.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6년 - 고용영역 채용과정에서의 차별실태 모니터링 연구, 국가인권위원회, 2016년 - 여성폭력 사각지대 해소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6년 - 여성.가족 관련 법제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Ⅱ): ① 2014년 여성.가족관련 입법과제, ② 간통죄에 대한 심층분석, ③ 출생등록의무자 및 스토킹 규제 관련 외국의 입법례와 시사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년 - 기업 등 조직 내 성희롱 예방체계 강화 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4년 - 여성·가족관련 법제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연구(Ⅰ) : 낙태규제와 여성대표성 관련 심층분석 및 여성·가족 관련 입법과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년. - 가사근로자 보호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년 - 다문화가족 관련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3년 - 여성가족관련 판례에 대한 성인지적 분석 및 입법과제(Ⅰ): 여성노동분야,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012년 -- 성차별(성희롱) 금지 실효성 제고를 위한 법·제도 개선방안 연구, 여성가족부, 2012년 - 육아휴직 관련 법제에 대한 입법평가, 한국법제연구원, 2012년 -- 성희롱 관련 법제에 대한 입법평가, 한국법제연구원, 2011년 -- 국격 제고를 위한 차별없는 사회기반 구축, 한국여성정책연구원,2011년 - 비정규직 여성근로자 모성보호 강화방안, 보건복지부, 2011년 - 성폭력 예방. 재발방지 및 피해자 보호.지원 인프라 개선방안, 국회여성가족위원회, 2011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