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여성 노동시장 영향 연구
        구분 기본 상태 완료
        담당자 김종숙 연구기간 2022-01-01 ~ 2022-12-31

        연구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인 직접일자리, 직업훈련, 고용서비스, 고용장려금 사업의 여성참여와 여성노동시장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향후 바람직한 정책 배분을 제안하는 것이 주요 목적임.

        가용한 행정자료를 개인단위로 분석하여 각 사업의 참여와 정책영역간의 자원배분, 여성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일반적으로 노동시장 성과에 해당하는 취업성과(취업률, 지속성 등)를 개인단위로 분석하고, 더 나아가 전체 노동시장 지표(고용율을 비롯하여 훈련참여율, 비정규직 비율, 임금격차를 비롯한 다양한 양적 질적 지표 등)와의 비교를 통하여 정책의 배분 등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함.

        외국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여성노동시장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여 정책 영역별 성과와 바람직한 자원배분, 여성노동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함.

         

        주요 연구내용

        □ 선행연구의 분석

        외국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현황

        우리나라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현황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과 여성노동시장

        여성노동시장의 변화와 특성

        2018~2021 기간 중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참여자 분석(단 분석대상 연도는 데이터 입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여성노동시장에 미친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의 효과

        OECD 국가들의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여성노동시장에 미친 영향 분석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이 여성노동시장에 미친 영향과 변화

         

        연구 추진방법

        문헌 연구

        선행연구의 분석: 각종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관련 문헌의 분석

        행정자료의 분석: 정부 발표 행정 자료를 통한 정책 현황 등 분석

        데이터 분석

        고용보험 DB의 관련 사업참여자 분석: 개인비식별 자료 요청을 통하여 가용한 자료 범위 내에서 자료 분석의 수행(단 분석대상 연도는 데이터 입수에 따라 변동될 수 있음).

        OECD 고용보호제도 ‘OECD Indicators on Employment Protection - annual time series data’, 각국의 기간 고용율 및 실업률, GDP 대비 적극적 노동시장 정책 지출 등 가용한 데이터를 장기시계열을 이용하여 작성하고, 이를 분석

        전문가 자문회의

        관련 정책 전문가 자문회의를 통하여 연구결과 공유 및 정책방안 모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