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등학교 양성평등 의식 및 성희롱.성폭력 실태 연구
        구분 수탁 분야 교육
        연구자 최윤정/윤덕경/선보영/장희영/장명선
        발간년도 2020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연구내용
        3. 연구방법
        가. 문헌연구
        나. 실태조사 실시
        다. 초점집단인터뷰(FGI)
        라. 전문가 자문회의

        Ⅱ. 이론적 논의와 기존 현황 검토
        1.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 분석
        가. 학교 내 성희롱?성폭력에 대한 기존 실태
        나. 학생 및 교원의 양성평등 의식과 태도
        2. 현행 사건 처리 절차
        가. 학교 내 성희롱?성폭력의 개념
        나. 학교 내 성희롱?성폭력 사건 처리 절차
        3. 학교 성희롱?성폭력 사건 결정례 분석
        가. 교원 징계 및 소청심사 사건 사례 분석
        나. 교원 성폭력 사건 관련 판결문 분석
        다. 소결

        Ⅲ. 중고등학생의 양성평등 의식과 성희롱?성폭력 실태: 설문조사 결과 분석
        1. 조사개요 및 응답자 특성
        가. 조사개요 및 방법
        나. 응답자 특성
        2. 학생의 성희롱?성폭력 경험
        가. 학교생활에서의 성차별
        나. 학교생활에서의 성희롱
        다. 학교생활에서의 불법촬영 및 유포 경험
        라. 강제추행
        마. 강제 성관계 경험
        3. 학생과 교원의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대응 역량
        가. 성희롱?성폭력 관련 대응 역량
        나. 성희롱?성폭력예방교육 현황
        다. 학교의 스쿨미투 현황과 조치
        4. 학생과 교원의 양성평등 의식
        가. 양성평등 의식
        나. 성희롱?성폭력 통념
        다. 소속 학교의 양성평등한 교육환경
        라. 우리 사회의 양성평등 수준에 대한 평가
        마. 양성평등 관련 사회운동에 대한 지지
        5. 소결
        가. 학생의 성희롱?성폭력 경험
        나. 학생과 교원의 성희롱?성폭력 예방 및 대응 역량
        다. 학생과 교원의 양성평등 의식

        Ⅳ. 중고등학생의 양성평등 의식과 성희롱?성폭력 실태: FGI 결과 분석
        1. 조사개요 및 참여자 특성
        가. 조사대상 및 참여자 특성
        나. 조사내용
        2. 스쿨미투의 전개와 대응
        가. 교사에 의한 성희롱?성폭력 현실
        나. 스쿨미투의 발단과 특성
        다. 다양한 스쿨미투 전개 양상
        라. 사건 해결에서의 어려움
        마. 징계?처벌 과정에서의 문제들
        바. 스쿨미투 이후 학교의 변화
        3. 학교 성인권 환경과 구성원의 양성평등 의식
        가. 학생 간 성희롱?성폭력의 특성
        나. 학교 구성원들의 양성평등 의식과 관점의 차이
        다. 경직된 학교문화
        4. 성인지 감수성 제고를 위한 교육의 현실
        가. 성폭력예방교육 및 성교육의 실태
        나. 성희롱?성폭력예방교육 및 성교육 개선방안
        5. 소결

        Ⅴ. 결론 및 제언
        1. 요약 및 결론
        가. 학생의 성차별?성폭력 경험
        나. 성희롱?성폭력 예방과 대응 역량
        다. 성희롱?성폭력 통념과 양성평등 의식
        2. 정책적 시사점
        가. 학교 성희롱?성폭력 사안 처리 방안
        나. 성희롱?성폭력예방교육 실효성 강화
        다. 학교 구성원의 양성평등 의식 제고 방안

        ? 참고문헌
        ? 부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