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5년 기업 및 공공기관의 가족친화 수준조사
        구분 수탁 분야 통계
        연구자 홍승아/박수범/김승연/임희정/류연규
        발간년도 2015
        수탁연구과제 결과물은 수탁기관의 승인 없이 전문을 제공할 수 없습니다.

        목    차


        Ⅰ. 서 론 1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3

        2. 연구내용 및 방법 5
        가. 연구내용 5
        나. 연구방법 6

        3. 연구추진 과정 7


        Ⅱ. 가족친화지수의 구성과 세부지표 9

        1. 가족친화지수의 특성 11

        2. 가족친화지수의 구성과 세부영역 11
        가. 지수의 구성 11
        나. 지수의 영역별 세부 지표 15
        다. 세부 지표의 정의 17


        Ⅲ. 조사개요 19

        1. 조사대상 21

        2. 표본설계 22

        3. 가중치 적용 방법 25

        4. 조사표 27

        5. 기관 및 기업의 일반 현황 31


        Ⅳ. 기업 및 공공기관의 가족친화수준 진단 35

        1. 개요 37
        가. 측정과정 37
        나. 지수의 배점 38

        2. 지수측정 결과 45
        가. 2015 가족친화지수 45
        나. 측정결과의 비교 47
        다. 영역별 비교 49
        라. 인증기업과 미인증기업의 비교 54

        3. 영역별 가족친화수준 분석 63
        가. 탄력근무제(유연근무제) 63
        나. 자녀출산·양육 및 교육지원제도 74
        다. 부양가족 지원제도 97
        라. 근로자 지원제도 103
        마. 가족친화문화 조성 107
        바. 가족친화인증기업과 미인증기업의 비교 116

        4. 가족친화지수 연계분석 120
        가. 가족친화제도 영역간 상관관계 120
        나. 기업특성과 가족친화지수 관계 121
        다. 가족친화지수와 재무성과 및 생산성 관계 141


        Ⅴ. 가족친화제도 운영 및 가족친화인증제 145

        1. 가족친화제도 운영 관련 147
        가. 가족친화제도 운영 이유 147
        나. 가족친화제도 도입 및 시행의 어려움 150
        다. 가족친화제도 시행의 효과성 153
        라. 인증기업과 미인증기업의 비교 156

        2. 가족친화인증제 관련 158
        가. 가족친화인증 현황 158
        나. 가족친화인증제 인지여부 및 인지경로 160
        다. 가족친화인증 신청의향 및 미신청 사유 164
        라. 가족친화인증기업(기관) 지원방안 166
        마. 가족친화인증을 통한 기대효과 169


        Ⅵ. 결론 및 정책과제 173

        1. 가족친화수준 평가와 제고 전략 175
        가. 2015 가족친화지수 평가 175
        나. 가족친화수준 제고 전략 187

        2. 가족친화지수의 관리와 활용 방안 190
        가. 가족친화지수 측정 관련 190
        나. 가족친화지수의 활용 방안 191

        · 참고문헌 195

        · 부    록 1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