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여성노인 생활실태 조사 및 서비스 개입 방안
        분야 가족 제안자 이기숙
        등록일 2009-07-13
        연구목적 및 필요성
        미래 한국은 2026년 인구 5명당 1명이 노인으로 초고령 사회를 맞이하게 되며, 노인집단 가운데에서도 장기 요양과 수발대책이 절실한  보호와 지원의 직접적 대상은 가장 빨리 증가하고 있는 75세 이상의 후기 고령자 집단이므로, 이들에 대한 구체적 분석과 파악이 필요하다.  
         선진국의 경우, 일본의 골드플랜과 미국 인구통계국 등의 노년분석은  각각 전기고령자와 후기고령자, 또는  55~64세(the olders)· 65~74세(the elders)· 75~84세(the aged)·  85세 이상 고령자로 세분하여 각 연령계층의 특성에 맞는 차별화된 노인 정책을 수립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최근의 노인집단 분류자료 및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고령 노인집단 분석을 통해 장기요양과 국가적 지원이 필요한 후기고령자 집단의 실질적 기초자료를 비교, 파악하고자 한다. 

        상세내용
          
        제안배경
         한국의  미래 사회 대부분을 차지할  후기 고령자에 대한 구체적이고  현실적 분석과 전망이 필요하다. 특히  후기 고령자의 수가 가장 많은 부산, 경남지역, 그리고 농어촌과  도서지역 등의 소외지역의 고령자 파악과 저소득층, 독거노인, 노부부세대, 고령 질환노인 등에 대한 각 집단별 후기 고령계층  파악과 분석이 필요하며, 또, 현재는 전기 노인집단이지만, 장차 후기 고령자 집단에 진입될 것이며 무엇보다 현재 상황으로서는  미래의  다가올 노년후기에 대한  신체적, 경제적인 실질적 대비와 여력이 전혀 준비되지 못한 노년후기 집단에 대한 예비적 파악 또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기대효과
        (1) 각 부문별 노인인구집단에 대한 연령집단 별 세부적 분류 수립 : 대부분의 조사영역에서 2000년 이전까지는 후기고령자 연령 구분이 자세히 분류되지 않았으며, 2000년 또는 2005년 이후 부터 후기고령자 연령구분이 85세 이상까지 둘 혹은 세 집단으로 분류되었고, 그 간격은 5세 간격으로 조사되고 있었으며, 연령 구분이 된 부문에서는 원자료에서는 95세 이상 또는 100세 이상 집단으로 분류되었다.(장례인구추계, 인구주택총조사)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65세 이상으로 전체노인층을 하나의 집단으로 분류 하였고, 최고령 집단을 75세 이상으로 정한 경우(이혼재혼율, 동거별거율, 노인운동여부, 노인식사, 도움수혜율, 삶의 만족도 등)와 80세 이상으로 정한 경우(동거여부, 거주형태, 세대구성, 혼인상태, 가구주와의 관계, 생활비 마련 등)로 후기 고령자의 연령 구분이 기준화되지 않았다. 대부분의 부문별 노인 연령 구분의 특성은 최고령집단을 60세 이상 집단(부모동거여부, 부모생계부양, 노부모부양견해, 결혼견해, 신문, TV시청, 전통문화, 레져시설, 교통사고, 범죄피해, 범죄율, 투표율)이거나, 65세 이상 집단(교통문제, 주택만족도, 거주만족도, 사회안전의식, 공적연금, 수급율, 경로연금, 건강보험, 요양급여)으로 분류하고 있었으며 이에 따라 노인 전체연령 가운데 세부집단의 특성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어렵다는 점이다. 또한, 최고령집단을 60세 이상 집단과 65세 이상 집단으로 함께 혼용 표기함으로 노인집단을 60~64세 집단과 65세 이상의 두 집단(거주영역, 소득과소비, 보건, 교육정보화 영역 - 교통, 주택만족, 주택불만, 거주만족, 소득만족, 주택형태, 소비만족, 저축, 의료서비스, 여가, 관광, 기부, 사회참여, 자원봉사, 주관적 만족감, 계층의식)으로 나누고 있는 현상을 볼 수 있었는데, 이는 장기간 확장된 노년기를 파악함에 있어 고령인구집단의 적절한 연령 구분이 될 수 없다는 제한을 가진다. 결국 최고령 집단을 55세 이상 집단, 60세 이상 집단, 65세 이상 집단, 75세 이상 집단, 80세 이상 집단 등으로 다양하고도 너무나 큰 폭의 광범위하게 분류함으로써 고령노인에 대한 적절한 통계와 기초자료를 제시하기에 많은 차이를 가진다. (2) 인구변동상의 특성(인구추이, 사망률), 가족생활에서의 특성(가구구성, 동거현황, 결혼상태, 결혼변동, 경제활동, 생활만족도, 자녀와의 관계, 사회관계망 등), 보건 및 복지환경(생활기능, 건강, 장애, 치매, 의식주생활상황, 의료혜택, 시설활용, 노후준비, 복지서비스 등), 기타 영역으로 고찰하여 각 연령계층별 노인의 제반 특성을 비교 (3) 폭넓은 노인 연령층의 다양한 욕구와 서비스 이용 파악 ?I 문제점 모섹 : 다가올 초고령 사회의 대다수를 차지할 이들을 위해서는 노년기의 연령구분을 세분화하여 각각의 연령층에 맞는 섭;스 제공 강조 (4) 성별, 연령별, 지역별, 소득계층별, 혼인상태별, 질병장애상황별 등 에 따른 고령자 집단 중에서도 보호와 요양 및 지원이 시급한 초고령층 노인의 세부적 분류와 파악을 토대로 노인복지 시설의 확충과 요보호 고령자를 위한 제도적 정비, 여가와 노동이 잘 조화된 신 노년기 문화의 시스템 가동은 미래를 대비한 준비로서 현실적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