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이주 여성의 문화변용 유형별 사회통합 지원 방안 개발
        분야 사회 제안자 김현실
        등록일 2009-09-25
        연구목적 및 필요성
        최근에 대한민국 정부는 결혼 이주 여성과 소수민족에 대한 정책을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양성평등위원회 및 여성가족부등과 함께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이 계획의 초점은 결혼 이주 여성의 인권 보호와 그들의 결혼과 정착에서의 다양한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포괄적 방법을 발견하기 위함이다. 주요 사회 프로그램은 한국어 교실, 한국 전통 요리 교실, 전통 문화와 예절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등과 같은 이주 여성의 문화 동화, “재 문화화(re-culturalization)"를 촉진하도록 고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결혼 이주 여성 가족의 사회 통합 지원 대책은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는 이러한 결혼 이주 여성 및 이들 가족을 위한 사회통합 지원 프로그램이 연구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준비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며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계성이 부족함으로써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는 가족, 이웃, 동료로써 이들 이주 여성과 함께 생활하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이해 증진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일방적으로 결혼 이주 여성들을 한국 문화에 편입, 동화시키려는 데 만 주력함으로써 오히려 이는 이주자에 대한 편견을 조장시키고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에서 직면하는 또 다른 장애를 낳을 소지가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cultural acculturation) 유형 별 사회통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상세내용
        1. 연구 설계
        본 연구는 우리나라 일 지역에 거주하는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이들의 정신건강 문제 및 문화변용 유형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cross-sectional) 조사연구가 될 것이다.

        2. 측정도구 
        본 연구에서 사용할 측정도구는 결혼이주여성의 일반적 특성, 문화적응 스트레스 정도 및 문화변용(acculturation) 유형을 측정하는 설문지로 구성될 것이다.

        3. 연구 대상자 선정
        연구 대상자 선정 방법은 전국 또는 대표성을 가진 집단을 선정하여  연구 참여에 동의한 여성을 전수 조사할 수 있다.

        4. 자료수집 과정
        자료수집은 설문지 조사연구와 보건소 또는 지역 여성회관 기록지 참조와 필요시 focus group 면담을 병행할 수 있다. 

        5. 자료 분석
        수집된 자료는  기술적 분석(descriptive analysis), 상관관계 분석, ANOVA, t-test 등의 통계 분석과 질적 연구 분석이 병행될 수 있다.
        제안배경
        그간 우리나라에서 진행한  결혼 이주 여성 가족의 사회 통합 지원 대책은 많은 한계점을 드러내고 있다. 첫째는 이러한 결혼 이주 여성 및 이들 가족을 위한 사회통합 지원 프로그램이 연구에 기초하여 체계적으로 준비되지 못하였다는 것이며 다양한 프로그램의 연계성이 부족함으로써 얼마나 효과적인지 알 수 없다는 것이다. 둘째는 가족, 이웃, 동료로써 이들 이주 여성과 함께 생활하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다문화 이해 증진을 위해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혀 없다는 것이다. 일방적으로 결혼 이주 여성들을 한국 문화에 편입, 동화시키려는 데 만 주력함으로써 오히려 이는 이주자에 대한 편견을 조장시키고 결혼 이주 여성들이 한국에서 직면하는 또 다른 장애를 낳을 소지가 있다. 따라서 결혼이주여성의 문화변용(cultural acculturation) 유형 별 사회통합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기대효과
        향후 연구결과에 기초한 보다 효과적인 결혼이주여성 사회적응 지원 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함으로써 다민족 국가화에 따른 사회적 부담과 비용을 경감시키고 나아가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