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 과소대표 개선과 젠더 공정성 연구 | |||
---|---|---|---|
구분 | 기본 | 분야 | 정치 |
연구자 | 김은경/문미경/김복태/천재영/김민정 | ||
발간년도 | 2021 | ||
첨부파일 |
[기본] 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 과소대표 개선과 젠더 공정성 연구 - 김은경(보이스아이).pdf ( 5.27 MB ) [미리보기] |
||
Ⅰ. 서 론
1. 연구의 필요성 및 배경 2. 연구의 내용과 방법 Ⅱ. 여성 기초자치단체장과 젠더 공정성 1.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와 여성의 과소대표 2. 여성 리더십과 여성의 과소 대표성 3. 역대 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후보 공천 현황 4. 기초자치단체장 여성 후보자 및 당선자 특성 Ⅲ. 여성 기초자치단체장 및 후보자의 선거경험과 여성리더십 1. 여성 단체장의 출마 경로와 선거운동전략 2 . 기초자치단체장 여성 과소대표의 원인 3. 여성 단체장의 차별성: 여성 리더십의 발휘 4. 소결 Ⅳ. 유권자의 기초자치단체장에 대한 인식조사 1. 조사개요 2. 유권자 설문조사 분석 결과 3. 소결 Ⅴ. 해외 사례 1. 여성 시장의 확대: 전세계적인 동향 2. 여성시장 수 변화의 동인 3. 여성 시장의 리더십 4. 소결 Ⅵ. 결론 및 시사점 1. 여성 기초자치단체장 과소대표 원인: 정당의 책무성 부재 2. 여성 리더십의 발현과 가능성 3. 공천과정과 여성단체장에 대한 유권자의 인식 4. 정책적 시사점 : 젠더 간 공정성의 회복 참고문헌 부 록 Abstract
2018년 지방선거에서 기초자치단체장 후보 총 749명 중 여성 후보는 35명(4.67%), 전체 당선인 총 226명 중 여성 당선인은 8명(3.54%)으로 여성 단체장 비율은 매우 저조함. 국회의원에 19%, 광역의원 19.4%, 기초의원 30.7%의 비율을 보이고 있는 것에 비추어볼 때 광역이나 기초자치단체장의 여성 대표성은 특히 과소대표 되어 있음. 기초자치단체장 선거에 있어서 주요 정당은 여성할당제 적용에서 제외하고 있거나 이렇다 할 공천 비율을 정하고 있지 않음.
<이하 원문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