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고령자 여성의 경제상태에 관한 연구: 은퇴시점을 기준으로
        구분 기본 분야 노동/경제
        연구자 홍지현/김종숙/이선행/김경태/이재민
        발간년도 2020
        첨부파일 중고령자 여성의 경제상태에 관한 연구-은퇴시점을 기준으로 - 홍지현-보이스아이.pdf ( 3.77 MB ) [미리보기]
        Ⅰ. 서 론
        1. 연구개요
        2. 활용 자료

        Ⅱ. 정책리뷰 및 선행연구
        1. 은퇴관련 정책리뷰
        2. 은퇴관련 선행연구
        3. 해외사례

        Ⅲ. 성별 중고령자 은퇴 현황 및 변화
        1. 중고령자 은퇴 현황 및 변화
        2. 중고령자 노후준비 실태 및 은퇴 후 경제생활
        3. 소결

        Ⅳ. 중고령 은퇴자의 경제상태 분석
        1. 중고령 은퇴자 경제상태
        2. 은퇴 전후 가계 경제상태의 변화
        3. 소득대체율 충족여부의 영향요인
        4. 소결

        Ⅴ.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연구결과 요약
        2. 정책적 시사점

        참고문헌

        Abstract
        Ⅰ. 서 론
        1. 연구개요
        ○최근 베이비부머 세대(1955-63년생)들이 대거 은퇴함에 따라 중고령자들의 은퇴 이후 삶에 대해 집중하기 시작하였지만, 현 노후준비서비스 및 노후설계 제도는 정년을 채우고 안정적으로 은퇴를 한 정규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남성과 여성의 생애주기가 같다는 전제가 기반이 되어있다. 
        -남성 근로자 중심으로 설계되어 있는 현 노후준비서비스 제도에 성인지적 관점을 반영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여성 근로자의 ‘은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며, 여성의 은퇴가 남성의 은퇴와 비교하여 여러 측면에서 다르게 이해되어야 한다.
        ○은퇴 사유에 있어서 여성의 정년으로 인한 은퇴의 비율은 남성에 비해 매우 낮고 결혼/출산/육아/수발로 인한 은퇴의 비율은 상대적으로 높다. 또한, 국민노후보장패널 자료에서 남성의 은퇴 연령이 평균 63.5세, 여성은 55.2세로 약 8년 정도의 차이가 난다. 여성의 조기은퇴와 기대수명의 증가로 인해 은퇴시점으로부터 연금을 수급하는 시점까지, 더 나아가서 생애를 마감하는 시기까지 여성의 경제적 상태는 남성에 비해 더욱 악화될 우려가 있다.
        ○노동시장에서의 성별 임금격차와 남녀간의 다른 생애주기에서 비롯된 노동경력의 차이는 근로기간 내에서 뿐만 아니라 은퇴 이후에도 성별 경제상태의 차이를 가져올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대적으로 은퇴시기가 빠른 여성은 남성에 비해 평균수명이 길어 노후에 재원이 더 많이 요구되므로 노후 준비 부족문제와 장수리스크는 여성에게 더욱 심각하다고 할 수 있겠다. 여성의 생애주기 관점에서의 은퇴 이전과 이후의 경제상태에 대해 분석할 필요가 있으며, 남성의 경제상태와 비교할 필요성이 있다.
        ○여성의 경제활동참여율이 증가함에 따라 미래에는 베이비부머 세대를 시작으로 일자리를 가진 여성의 비율이 현재 중고령자 집단의 비율보다 훨씬 많을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향후 증가할 은퇴자 여성에 대한 노후대비 방안 마련 차원에서도 현재 중고령자 집단의 은퇴 전후 경제상태 변화를 분석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은퇴시점을 기준으로 중고령 여성의 경제적 삶의 질 변화를 연구하는 것이 목적이며 여성의 노후소득보장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도출해내고자 한다. 본 연구 주제는 첫째, 중고령 은퇴자들의 은퇴와 관련한 여러 현황을 성별로 파악하고 세대별로 그 차이를 탐색하고자 한다. 둘째, 은퇴자들의 은퇴 이후 경제현황을 파악하고 은퇴 전후로 중고령자들의 소득, 지출, 자산 부채 등의 재무상태의 변화를 분석하고자 한다. 셋째,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이에 따른 정책적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2. 활용할 자료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패널(KLIPS)과 국민노후보장패널(KReIS)을 활용하였으며, 한국노동패널 자료를 이용하여 12년 격차를 두고 중고령 은퇴자의 현황 및 세대 변화 파악을 중점으로 분석하였고, 국민노후보장패널은 은퇴자들의 은퇴 전후 경제상태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해 사용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