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사 문의 |
김소영 연구기획팀장(02- 3156- 7093) |
언론 담당 |
황애리 홍보담당(02- 3156- 7296) |
|
보 도 자 료 2019.12.11.(수) |
보도 일자 |
배포 즉시 |
※ 총 5쪽 (붙임 포함) www.kwdi.re.kr |
청년층 공정성인식에 대한 성별차이 확인 전반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사회가 성불공정하다는 인식이 더 높게 나옴(여85.5%, 남74.4%). 청년남성은 능력과 노력에 따른 보상의 공정성 중시하는 반면 청년여성은 경제적 평등과 차별없는 사회에 대한 요구 커, ‘젠더 갈등’ 프레임을 넘어 탈가부장적 공정 사회로의 전환을 위한 노력 필요 |
주제로 제119차 양성평등정책포럼 개최
□ 한국여성정책연구원(원장 권인숙)은 12월 11일(수) 오후 2시에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층 국제회의장에서 “포용, 공정과 젠더를 말하다–청년세대의 인식과 경험 속에서”에 대한 제119차 양성평등정책포럼을 개최한다.
□ 이번 포럼은 최근 청년층의 화두가 되고 있는‘공정성과 젠더’이슈에 대한 인식의 성별 특성을 살펴보고, ‘젠더 갈등’담론을 대체할 새로운 인식틀과 포용국가를 위한 정책 방향을 논의하고자 마련되었다.
□ 권인숙 원장은“최근‘젠더갈등’담론이 급격히 확산되었으나, 대표성 있는 경험적 자료에 기반한 심층적 진단은
- 1 -
부족했다. 표면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남녀대립적 양상만을 부각시키는 논의는 우리 사회의 지속가능한 미래 설계를 위한 생산적 논의를 어렵게 한다. 무한경쟁 시대 우리 청년들이 직면한 구체적인 삶의 현실 및 사회·정치 의식적 측면의 면밀한 진단이 요구된다”면서 “오늘 포럼이 포용국가의 실현을 위한 청년 정책의 방향 설정을 위한 심도 깊은 논의의 장이 되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 이날 포럼에서는 마경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정책연구실장이 “‘20대 현상’ : 탈가부장 사회를 위한 도전과 갈등”을, 추지현 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가 “‘공정’인식에 대한 젠더분석”을 주제로 발표한다.
○ 마경희 실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젠더 이슈를 둘러싼 성별인식의 격차가 크다는 점이 20대의 특징이기는 하지만, 이를‘젠더 갈등’으로 개념화하는 것은 대안의 모색 자체를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라면서 가부장적 질서의 균열과 해체를 위한 과정이라는 보다 거시적 사회 변동의 흐름 속에서 읽어낼 것을 제안한다.
○ 추지현 교수는 주제발표를 통해 청년 남녀의 공정성에 대한 인식차이에 관해 분석한다. 추교수는 전반적으로 청년여성이 청년남성보다 사회가 불공정하다는 인식이 더 높게 나왔으며(여:85.5%, 남:74.4%), 청년남성은 능력과 노력에 따른 보상의 공정성 중시하는 성향을 보이는 반면 청년여성은 경제적 평등과 차별없는 사회에 대한 요구가 크다는 점을 분석하면서 한국 사회가 청년정책의 방향에 대해 젠더적 함의를 밝힌다.
○ 주제발표 후에는 강보배 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사무국장, 문지혜 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공동위원장, 서현선 진저티
- 2 -
프로젝트 공동대표, 이현재 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HK교수, 조민경 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장, 최주헌 서울대학교 여성주의학회 달 회원이 토론자로 참여해 청년층의 공정과 젠더에 대한 인식과 경험에 대한 논의를 진행한다.
붙임 1. 행사 개요
2. 양성평등정책포럼 소개
- 3 -
붙임 1 |
행사 개요 |
□ 주 제 : 포용, 공정과 젠더를 말하다 – 청년세대의 인식과 경험 속에서
□ 일 시 : 2019. 12. 11(수), 14:00~17:00
□ 장 소 : 한국여성정책연구원 2층 국제회의장
□ 주 최 :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한국여성정책연구원
□ 프로그램
구분 |
내 용 |
|
13:30~14:00 |
등록 |
|
사회: 김소영(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연구기획팀장) |
||
14:00~14:20 |
개회식 |
인사말 : 권인숙(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장) 축사 : 이정옥(여성가족부 장관) |
14:20~15:10 |
발표 |
'20대 현상': 탈가부장 사회를 위한 도전과 갈등 마경희(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정책연구실장) '공정'인식에 대한 젠더분석 추지현(서울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15:10~15:20 |
휴식 |
|
좌장: 신경아(한림대학교 사회학과 교수) |
||
15:20~16:30 |
토론 |
강보배(전국청년정책네트워크 사무국장) 문지혜(서울청년정책네트워크 공동위원장) 서현선(진저티프로젝트 공동대표) 이현재(서울시립대학교 도시인문학연구소 HK교수) 조민경(여성가족부 여성정책과장) 최주헌(서울대학교 여성주의학회 달 회원) *가나다 순 |
16:30~17:00 |
종합토론 및 질의응답 |
|
17:00 |
폐회 |
- 4 -
붙임 2 |
양성평등정책포럼 소개 |
□ 양성평등정책포럼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여성정책 현안별로 정부, 국회, 학계 등 다양한 정책 관계자들과 협력하여 다양한 논의의 장을 제공함으로써 보다 실용적이고 생산적인 정책과제 발굴에 기여하고자 2002년부터 지속적으로 개최하고 있는 기관 대표행사임.
□ 2017~2019년 양성평등정책 포럼 개최 현황
차수 |
포럼주제 |
개최일자 |
119 |
포용, 공정과 젠더를 말하다 – 청년세대의 인식과 경험 속에서 |
2019- 12- 11 |
118 |
미투 이후, 성희롱‧성폭력 신고센터 운영과 향후 과제 |
2019- 08- 20 |
117 |
성폭력 무고의 젠더분석과 성폭력 범죄 분류의 새로운 범주화 |
2019- 07- 19 |
116 |
문재인 정부 2주년 성과와 평가 : 젠더폭력정책을 중심으로 |
2019- 05- 15 |
115 |
가정폭력 가해자 상담조건부 기소유예제도 평가와 향후 과제 |
2018- 12- 19 |
114 |
끝나지 않는 폭력, 디지털 성범죄 : 피해자 관점의 진단과 해법 모색 |
2018- 11- 08 |
113 |
성차별 해소에서 여성노동정책의 답을 구하다 |
2018- 07- 06 |
112 |
미투! 한걸음 더 들여다 본다 - 미투 운동에 대한 정책 대응 평가와 향후 과제 진단 |
2018- 04- 05 |
111 |
‘미혼모’ 호칭 : 정체성 확인과 차별적 효과 사이 |
2017- 12- 06 |
110 |
성주류화 정책의 현황과 발전방향 |
2017- 09- 18 |
109 |
양성평등정책의 추진 방향과 과제 |
2017- 07- 06 |
108 |
생애주기별 여성일자리 현황과 정책방안 |
2017- 06- 21 |
107 |
가정폭력 피해자 실태와 보호 및 수사사법체계 개선방안 모색 |
2017- 04- 14 |
106 |
공공부문 여성관리자 현황과 정책과제 |
2017- 04- 13 |
- 5 -